학술논문
장애 형제와 가정에서 공유하는 음악 경험 형태에 따른 비장애 아동의 형제 관계 인식 및 장애 수용도
이용수 27
- 영문명
- Perceived Sibling Relationship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in Neurotypical Children Depending on Shared Music Experiences at Home With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저자명
- 곽윤(Yun Kwak)
- 간행물 정보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제21권 제3호, 19~4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장애 아동에게 있어 비장애 형제의 역할이 중요해짐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장애 아동 가정에서 형제가 실제 경험하는 음악 활동의 형태, 유형, 빈도를 알아보고 그 수준에 따라 비장애 아동의 형제 관계 인식 및 장애 수용도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하의 발달장애 아동을 형제로 둔 만 9세 이상 만 12세 이하의 비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가정 내 장애 형제와의 놀이 및 음악 경험과 그에 따른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문항별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음악 공유 경험의 유형, 수준, 강도에 따른 형제 관계 인식과 장애 수용도의 차이를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 형제와의 음악 공유 경험이 있는 비장애 아동이 지각하는 장애 형제에 대한 친밀성과 장애 수용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특히, 형제간 음악 활동 동안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소통의 균형성 등의 구체적 수준과는 상관없이 비장애 아동이 장애 형제에 대해 지각하는 친밀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장애 수용도는 형제간 상호작용이 없거나 비장애 아동이 장애 형제를 주도하는 경우, 장애 형제에게 양보하며 진행하거나 동등하게 소통하는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비장애 형제가 공유하는 음악 경험의 고유한 의미와 이에 따른 비장애 아동의 인식과 관련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types, levels and frequencies of musical activities shared by neurotypical siblings and their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influences on perceived sibling relationships. An online survey comprising 92 items was conducted with neurotypical children aged 9 to 12 who have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nder the age of 18.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responses,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sibling relationships and disability acceptance depending on the intensity and types of shared musical experienc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en neurotypical children shared musical experiences with their siblings with disabilities, their perceived closeness to their siblings and acceptance of the dis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p <.001). Furthermore, perceptions varied depending on the level of shared musical experiences. When interactions occurred during musical activities between siblings, neurotypical children perceiv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closeness towards their siblings, regardless of the specific balance or level of communication. Conversely, disability acceptance was significantly lower both when there was no interaction during the musical activities and when neurotypical children solely led the activities.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insights into shared music experiences at home between siblings with disabilities and the influences of these experiences on perceived sibling relationship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 형제와 가정에서 공유하는 음악 경험 형태에 따른 비장애 아동의 형제 관계 인식 및 장애 수용도
- 팬데믹 시대(COVID-19) 음악치료사자격 인증 및 임상 대응 전략 분석: (사)전국음악치료사협회를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 관련 해외대학교 가이드라인 사례 분석을 통한 교원양성기관 음악 교사 교육 제언 방안
- 중도 ASD 아동의 의사소통 시도 향상을 위한 AAC 활용 단계적 음악치료 프로토콜
- 커뮤니티 기반 그룹 노래부르기 프로그램 참여가 지역사회 초기 독거노인의 삶의 질과 고독감,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제21권 제3호 목차
- Exploring the Ethical Possibilities of Praxial Music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mbodied Cognition
참고문헌
- Education and Training in Autism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 The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 Journal of Music Therapy and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 Seoul: Hakjisa
-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 Exceptional Children
- Exceptional Children
- Child Development
- Developmental Neurorehabilitation
- Special Education Research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Autism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for Curriculum and Instruction
-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 British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 Journal of Parent Education
-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 Mental Retardation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한국 음악소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도 연구
- 지역형 초등국악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경험 탐색 - 초점집단면담(FGI)을 중심으로 -
- 포스트 휴먼 시대, 실천적 미적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 탐색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에의 조망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