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30대 직장인의 애착불안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대인존재감의 이중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Matte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Employees in Their 20s and 30s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 저자명
- 배성애(Sungae Bae)
- 간행물 정보
- 『생명연구』제74집, 103~12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30대 직장인의 애착불안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20~39세 직장인 남녀 300명 패널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의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로는 첫째, 20~30대 직장인의 애착불안과 대인관계능력 사이에 정서인식명확성과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둘째, 애착불안이 정서인식명확성과 대인존재감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대인관계능력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로써, 20~30대 직장인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자신의 정서를 명확히 인식하고 대인관계에서 자신을 중요한 존재로 여겨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20~30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애착불안과 대인관계능력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대인존재감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연구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대인관계능력 증진에 있어서 정서인식명확성과 대인존재감에 관한 상담적 개입 필요성의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matte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mong employees in their 20s and 30s. A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with a panel of 300 male and female employees aged 20 to 39. The double mediation effect was analyzed using SPSS Process Macro,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was tested through bootstrapping.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clarity and mattering showed mediating effects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 employees in their 20s and 30s. Secondly, attachment anxiety is sequentially mediated through emotional clarity and mattering, exhibiting a dual mediation effect that negatively influences interpersonal compet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o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e among employees in their 20s and 30s, it is crucial to help individuals clearly recognize their emotions and feel valued i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research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emotional clarity, mattering,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 young employees. It also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that focus on emotional clarity and mattering to enhance interpersonal compete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20~30대 직장인의 애착불안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대인존재감의 이중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실습 성찰일지에 대한 내용분석
- 고령 장애인의 지역사회 돌봄서비스 이용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