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계번역에서의 진술부사 처리 양상에 관한 일고찰 : 소설의 일한 번역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Process Method of Modal Adverbs in AI Translation : Focusing on Japanese-Korean Translation of Novels
- 발행기관
- 숙명인문학연구소
- 저자명
- 박미숙(Mi-Suk Park)
- 간행물 정보
- 『횡단인문학』제18호, 133~15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계번역에서의 진술부사 처리 양상을 한국어 대응 양상과 번역 처리 양상으로 나누어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대응 양상에서 「もちろん/やはり/なぜ/まったく/まるで」(구글과 파파고) 와 「きっと/おそらく/たぶん」(파파고)은 90% 이상의 비율로 일대일 한국어 대응을 보인다. 특히「もちろん/まるで/まったく/やはり」(구글),「なぜ/おそらく/たぶん/やはり」(파파고)는 [물론/마치/전혀/역시], [왜/아마(도)/아마(도)/역시]로만 번역되어 전체적으로 의미기능이 세분화되지 못하여 표현의 다양성이 미흡하였다.
둘째, 번역 처리 양상에서 어순 변화가 가장 적게, 생략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고정적 부사 위치는 부사의 부동적 특성의 약화를, 다수의 생략은 부차적 성분으로서의 부사특징을 나타낸다.
이어 「まるで」의 긍・부정 용법 혼동으로 인한 오용과 「なぜ」(구글)와 「もちろん」(파파고)의 품사전성 및 「きっと」(파파고)의 의미 전성으로 인한 변용이 보인다. 구체적으로 오용은 구글 36개(1.86%)/파파고 4개(0.20%), 변용은 구글 1개(0.05%)/파파고 8개(0.41%) 로 기계번역의 정확성과 함께 일부 유연성을 파악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rocessing patterns of modal adverbs that appear in AI translation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m into Korean correspondence patterns and translation processing patter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Korean response, ‘もちろん/やはり/なぜ/まったく/まるで」’(Google and Papago) and ‘きっと/おそらく/たぶん’(Papago) show a one-on-one response to Korean at a rate of more than 90%. Particularly, ‘もちろん/まるで/まったく/やは り’(Google) and ‘なぜ/おそらく/たぶん/やはり’(Papago) are translated only to [물론/마치/전혀/역시] and [왜/아마(도)/아마(도)/역시], which means the overall semantic function is not subdivided and the diversity of expression is insufficient.
Second, the world order change was the least, and the omission was the most common in terms of translation processing. The fixed adverbial position shows the weakening of the floating characteristic of the adverb, and the omissions show the adverbial feature as a secondary component.
Subsequently, the misuse due to the confus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usage methods of ‘まるで’, transformation due to the parts of speech transformation of ‘な ぜ’(Google) and ‘もちろん’(Papago), and meaning transformation of ‘きっと’ (Papago) can be seen. Misuse appears 36 on Google(1.86%) and 4 on Papago (0.20%), and transformation appears 1 on Google(0.05%) and 8 on Papago(0.41%). It shows flexibility partially with accuracy of machine translation.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4. 한국어와의 대응 양상
5. 번역 처리 양상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트랜스휴먼주의와 미국의 정치 신화
- 개, 우리의 친구인가 아닌가? 그들의 고기는?
- 한국에서 비인간론의 연구 동향
- 기계번역에서의 진술부사 처리 양상에 관한 일고찰 : 소설의 일한 번역을 중심으로
- 창작, 모방, 그리고 시네마에 관한 독백 : 영화 <헤어질 결심>에 드러난 박찬욱의 시선
- 코로나19 유행 시기 요양시설 코호트 격리 되짚어보기: 사례연구 방법으로 분석한 한국 코호트 격리의 문제점
- 성스러운 가치에 대한 헌신으로서 병역 거부 운동 : ‘헌신된 행위자’ 모델에 비추어 다시하는 이야기
- 현대소설의 일본어계 어휘 사용 양상에 관한 일고찰 : 박경리 『토지』와 최명희 『혼불』의 계량적 비교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