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연극의 새로운 장르화, 온라인 낭독극의 가능성:2020 수성아트피아 온라인 낭독극 <산불>과 <오므라이스>를 중심으로
이용수 37
- 영문명
- New genre of Korean theater, the future of reading plays : 2020 SusungArtpia Online Reading Drama
and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유럽-아프리카연구소
- 저자명
- 권미란(Mi-Ran Kown)
- 간행물 정보
- 『글로벌 거버넌스와 문화』제4권 제2호, 7~2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고의 목적은 한국 낭독극의 특성을 파악하고 해당 장르의 발전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는 비대면 방식과 온라인 체제에 빠르게 적응해야만 했다. 그중 문화예술 및 공연 분야는 갑작스레 모든 활동을 중단하거나 비대면으로 전환하며 큰 위기를 맞는다. 대다수 공연이 취소되면서 정부와 여러 기관에 원조와 지원 아래 비대면 온라인 공연이 진행되었다. 2010년 이후부터 낭독극이 공연의 한 형태로 인정받기 시작하는 데는, 연극의 접근성을 높인 온라인 환경(영상 매체)과 관객의 관심과 흥미를 자극하는 시청각적 요소를 적극 활용하게 되면서이다. 팬데믹 시대와 함께 새로운 장르로 급성장한 낭독극은 빈 무대 위 배우의 신체와 목소리 연기로 연극성을 구현하며 극적 변화를 꾀한다. 온라인 낭독극은 코로나 이후 공연계가 선택한 무대 전략과 관객 수용 양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본 고는 점차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며 관객과의 거리 좁히기를 시도한 낭독극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현재 연극계에서 낭독극이 갖는 위상을 논하기 위해 낭독극의 형식과 특성을 분석하고 한국문화 예술 발전에 향응하는 연극의 대중성과 효용성의 가치를 밝히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reading plays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the genre. After COVID-19, the world had to quickly adapt to non-face-to-face and online systems. Among them, culture, arts, and performance fields suddenly stop all activities or switch to non-face-to-face, facing a major crisis. As most of the performances were canceled, non-face-to-face online performances were conducted with aid and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various organizations. Reading plays, which were performed in the form of previews in plays, began to be recognized as a form of performance after 2010 as the online environment (video media) that increased the accessibility of the play and audiovisual elements that stimulate the interest and interest of the audience were actively utilized. Reading plays, which have rapidly grown into a new genre with the pandemic era, seek dramatic changes by realizing theatricality with the acting of the body and voice of the actor on an empty stage along with the online environment. Online reading plays specifically show the stage strategies and audience acceptance patterns chosen by the performance industry after COVID-19. In order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ading plays that gradually change into various forms and attempt to narrow the distance from the audience, this paper analyzes the form and characteristics of online reading plays and reveals the value of popularity and utility of plays tha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e and art.
목차
Ⅰ. 낭독극의 개념과 ‘현재’
Ⅱ. 온라인 낭독극의‘읽기’전략: 빈 무대와 관객 몰입
Ⅲ. 낭독극의 새로운 가능성, 문화 교류의 다각화
Ⅳ. 나오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