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공재정 부정이익환수제도에 관한 고찰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the Public Finance Illegal Profit Recovery System
발행기관
한국부패방지법학회
저자명
김남욱(Nam Wook Kim)
간행물 정보
『부패방지법연구』제7권 제2호, 3~3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단체의 보조금, 연구개발비, 수당 등이 허위청구, 과다청구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국가공무원법, 지방공무원법상의 공무원징계에 따른 징계부가금제도외에 공공재정환수법이 2019년 4월에 제정되었다. 공공재정부정청구를 금지하고 불로소득인 부정수익을 전액을 환수하기 위하여 부정청구의 고의성, 상습성 등을 고려하여 5배 이내의 제재부기금을 부과하여 환수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공공재정 부정이익환수의 개념과 적용범위, 법적성질을 검토한 후, 미국의 2002년 부정지급정보법(Improper Payment Information Act of 2002), 허위청구법(False Claims Act), 2015년 연방 부정자급조정법(Federal Improper Payments Coordination Act of 2015), 2019년 지급무결성정보법(Payment Integrity Information Act of 2019), 일본의 보조금적정화법 등을 고찰하여 우리나라에 시사점을 강구한다. 또한 공공재정지급금의 부정이익 감소를 위한 사전 및 사후제도 체계호방안, 공공재정지원금환수에 대한 내부고발제도 실효성 확보, 비실명대리신고제도 활성화에 관한 법적쟁점을 검토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공공재정환수법의 실효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공공재정지급금의 부정이익환수전에는 관계행정기관, 공공기관에서 부정지급의 위험성평가와 적격성 심사를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운영하여야 하며, 공공재정지원금을 지급한 이후에는 행정기관, 공공기관과 독립된 외부감시인에 의한 감사를 엄정하게 시행하여 공공재정지원금의 부정수급을 방지하고, 그 감사결과를 관계행정기관의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투명성을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내부고발자에 대한 부정적인 조직문화와 공공재정지원금의 부정수급이 비밀리에 이루어지는 것을 근절하기 위하여 행정기관, 공공기관에 허위로 청구하는 경우에 한하여 내부고발자가 미국식의 퀴탑소송을 제기하도록 하되 해당 행정기관, 공공기관이 소송에의 개입을 허용하고 공공재정금의 부정이익을 환수한 경우 해당 환수금액의 35%를 내부고발자에게 보상하여야 한다. 공공재정지원금의 부정수급의 특성상 비실명 대리신고제도가 활성화되도록 권역별 국민권익위원회의 비실명대리신고자 문단이 균형있게 확충하여야 할 것이며, 내부신고자의 익명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blic Finance Recovery Act was enacted in April 2019 in addition to the disciplinary surcharge system for public officials under the National Public Officials Act and the Local Public Officials Act as subsidies, R&D expenses, allowances, etc. of the state,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organizations continue to make false claims and excessive claims. In order to prohibit public financial fraudulent claims and to recover the full amount of fraudulent income, which is unearned income, a sanction surcharge of up to five times is imposed and recovere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ntion and habitability of fraudulent claims. In this paper, after examining the concept, scope, and legal nature of public finance fraud recovery, we examine the Improper Payment lnfonnation Act of 2002, the False Claims Act, the Federal Improper Payments Coordination Act of 2015, and the Payment Integrity Information Act of 2019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Subsidy Appropriation Act of Japan to seek implications for Korea In addition, we examine legal issues related to the systematization of pre- and post-systems to reduce fraudulent profits in public finance payments,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whistleblowing system for public finance subsidy recovery, and activating the anonymous proxy reporting system,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Public Finance Recovery Act. Before recovering the illicit profits of public finance payments, relevant administrative agencies and public institutions should actively operate programs to strengthen the risk assessment and eligibility review of illicit payments, and after disbursing public finance support funds, they should strictly conduct an audit by an external auditor independent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and public institution to prevent illicit receipt of public finance support funds, and the results of the audit should be posted on the website of the relevant administrative agency to enhance transparency. In addition, in order to eradicate the negative organizational culture toward whistleblowers and the secret receipt of public finance support funds in Korea, whistleblowers should be allowed to file a U.S.-style qui tarn lawsuit only in cases where they make false claims to administrative agencies or public institutions. However, if the relevant administrative agency or public institution allows intervention in the lawsuit and recovers the illicit profits of public finance funds, they should be compensated 35% of the recovered amount to the whistleblower. Given the nature of fraudulent receipt of public financial support funds, the regional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s anonymous proxy reporting advisory group should be expanded in a balanced manner to ensure that the anonymous proxy reporting system is activated, and the anonymity of internal reporters should be guaranteed.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공공재정 부정이익환수의 법적성질
Ⅲ. 공공재정 부정이익환수제도에 관한 법적문제 검토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남욱(Nam Wook Kim). (2024).공공재정 부정이익환수제도에 관한 고찰. 부패방지법연구, 7 (2), 3-31

MLA

김남욱(Nam Wook Kim). "공공재정 부정이익환수제도에 관한 고찰." 부패방지법연구, 7.2(2024): 3-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