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impact of unmarried people’s values and perceptions on marriage and fertility intentions: Focusing on latent classes of gender role attitudes and subjective economic uncertainty

이용수 2

영문명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저자명
이소영(Soyoung Lee) 임지영(Jiyoung Lim) 류진아(Jina Ryoo)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82권, 43~7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랜 기간 지속된 한국의 저출산 현상은 그 심각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최근 저출산의원인으로 지적되는 가치관과 인식을 보다 정교하게 분석하여 미혼자의 성역할 가치관의 잠재유형에 대해 파악하고 성역할 가치관 잠재집단과 개인이 인식하는 불확실성이 결혼과 출산 의향과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1년도 가족과 출산 조사 자료의미혼자 5,003명을 대상으로 잠재집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도하였다. 잠재집단분석 결과성역할 가치관에 따라 ‘성평등 가치관 집단(71.8%)’, ‘전통적 가치관 집단(19.8%)’, ‘과도기적가치관 집단(8.4%)’으로 유형화되었다. 성평등 가치관 집단을 참조집단으로 하여 나머지 2개 유형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성, 연령, 교육수준, 근로형태, 균등화 총소득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성평등 가치관 집단이 전통적 가치관 집단에 비해 결혼과 출산 의향이 낮고, 긍정적으로 미래를 전망할수록, 즉, 미래에대한 불확실성이 낮을수록 결혼과 출산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사적 영역의 성평등 문화 확산과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주거 및 소득의 안정성 확보를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South Korea's long-standing low fertility rate has been widely acknowledged as a significant 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more refined analysis of values and perceptions, which have been recently pointed out as causes of low fertility, by identifying the latent types of gender role values among unmarried individuals and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gender role value latent groups and perceived uncertainties in relation to intentions to marry and have children. We conducted a latent class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on data from 5,003 unmarried people from the 2021 National Family and Fertility Survey. The latent class analysis categorized unmarried individuals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gender role attitudes: egalitarian value group (71.8%), traditional value group (19.8%), and transitional value group (8.4%). Using the egalitarian value group as the reference group,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is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remaining two groups. The results indicate that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employment type, and equivalized total income were significan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egalitarian value group had lower intentions to marry and have children compared to the traditional value group. Additionally, individuals with more positive future prospects, i.e., lower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had higher marriage and fertility inten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promoting a culture of gender equality in both public and private spheres and increasing housing and income stability to reduce uncertainty.

목차

I. Introduction
II. Theoretical Background
III. Method
IV. Results
V.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소영(Soyoung Lee),임지영(Jiyoung Lim),류진아(Jina Ryoo). (2024).The impact of unmarried people’s values and perceptions on marriage and fertility intentions: Focusing on latent classes of gender role attitudes and subjective economic uncertainty.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43-79

MLA

이소영(Soyoung Lee),임지영(Jiyoung Lim),류진아(Jina Ryoo). "The impact of unmarried people’s values and perceptions on marriage and fertility intentions: Focusing on latent classes of gender role attitudes and subjective economic uncertainty."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024): 43-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