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령사회 노인문화정책의 변화 고찰 및 과제

이용수 256

영문명
A study on the changes of Senior Cultural Policy in an Ageing Society and Its Task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김신일(Shinil Kim)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71집, 65~9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2025년에는 20.6%로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의 주를 이루는 신노년층인 베이비붐 세대는 문화적 욕구가 높고 독립적이고 자유로운 주체로서의 정체성을 중시하며, 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것을 중요한 가치로 여긴다. 따라서 고령사회와 신노년층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기초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마스 쿤의 패러다임주의와 신제도주의의 이론인 경로의존성을 바탕으로 인구구조의 패러다임 변화의 주체인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층 인구증가에 따른 고령사회 문화정책의 정책 지체 현상을 설명하고 저출산고령화정책과 어르신문화프로그램을 통해 고령사회 문화정책이 고령사회 대책에 대응되지 못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 활동에 대한 욕구가 높은 베이비붐 세대가 중심이 된 고령사회로 사회가 변화되었고, 이러한 새로운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로 노인정책에서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으로 정책 전환이 되었지만 문화적 욕구 충족이 아닌 기존의 복지정책 차원에서와 같이 1차적인 순위가 일자리 정책에 집중되어 있어서 노인문화정책은 정책의 우선순위에서 밀리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제1차에는 노인의 문화활동 측면에서 시행된 정책을 찾아보기 어려웠고, 제2차와 제3차 보완계획에서도 노인 고용에만 중점을 두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표적인 노인문화정책인 어르신문화프로그램에서도 예산이 2016년 약 46억 원에서 2022년 25억 원으로 지속적으로 감소되었고 프로그램 또한 2016년 391개에서 2023년 163개로 축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고령사회의 변화와 그에 따른 노인문화정책의 현황을 밝힌 본 연구는 고령사회에서의 삶의 질 향상을 충족시킬 수 있는 노인문화정책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향후 65세 이상부터를 하나의 대상으로 하는 정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세부화된 연령별, 성별에 따른 문화정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세분화된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In 2025, South Korea is projected to enter a super-aged society with 20.6% of its population aged 65 and older. The Baby Boomer generation, which will constitute a significant portion of this aged society, values cultural needs, independence, and the identity of being a free and active participant in society. Thu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aging society and the new senior is essential, and policy response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are necessary. This study explains the policy lag phenomenon in cultural policies for an aging society, based on Thomas Kuhn's paradigm theory and the path dependency theory of new institutionalism. It demonstrates that the cultural policies for an aging society have not adequately responded to the aging population, using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policies and senior cultural programs as case studies. The study found that society has shifted to an aging society centered on the Baby Boomer generation, which has high cultural activity demands. Despite the shift in social paradigms, the transition from senior policies to the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did not prioritize the fulfillment of cultural needs, but rather continued to focus primarily on employment policies, as seen in previous welfare policies. It was difficult to find policies implem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ctivities for seniors in the first Basic Plan, and even in the second and third supplementary plans, the emphasis was predominantly on senior employment. Additionally, the budget for the representative senior cultural policy, the Senior Culture Program, decreased steadily from approximately 4.6 billion KRW in 2016 to 2.5 billion KRW in 2022, with the number of programs reducing from 391 in 2016 to 163 in 2023. This study, which highlights the changes in an aging society and the current state of senior cultural policies, can be used to develop policies that enhance the quality of life in an aging society. Moreover, it suggests the need for more detailed research to create more segmented cultural policies that address specific age groups and genders, rather than policies targeting everyone aged 65 and older as a single group.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신일(Shinil Kim). (2024).고령사회 노인문화정책의 변화 고찰 및 과제. 예술경영연구, (), 65-95

MLA

김신일(Shinil Kim). "고령사회 노인문화정책의 변화 고찰 및 과제." 예술경영연구, (2024): 65-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