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256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Korean Academic Speaking Education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최현정(Hyunjung Choi) 박부전(Bujeon Park)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39호, 69~9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을 활용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육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 그에 따른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방법: 학술지 논문 59편을 선정하여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으로 진행하였다. 결과: 2021년에 도입된 한국어 능력 말하기시험이 활성화되면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서는 ‘발표, 토론, 수업, 과제’ 등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토픽 모델링 결과에서는 ‘토론, 단계, 전략, 설득, 말하기 평가’ 등의 키워드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는 연구 대상을 NetMiner의 토픽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주관성을 배제하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육 연구 동향을 고찰하고 앞으로의 학문 목적 말하기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rends in academic Korean speaking education for learners using topic modeling and to explore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findings. Method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We selected 59 academic journal articles and conducted topic modeling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Results: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Korean Speaking Proficiency Test introduced in 2021 has increased research on academic Korean speak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revealed frequent terms like ‘presentation,’ ‘discussion,’ ‘lesson,’ and ‘task.’ Topic modeling highlighted keywords such as ‘discussion,’ ‘steps,’ ‘strategy,’ ‘persuasion,’ and ‘speaking assessment.’ These findings indicate rich information on key topics like ‘discussion,’ ‘stages,’ ‘strategy,’ ‘persuasion,’ and ‘speaking assessment.’ Conclusion: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examining trends in academic Korean speaking education and proposing future directions for academic speaking by analyzing the research subject using NetMiner’s topic modeling technique. By excluding subjectivity and utilizing objective data, the study contributes to providing 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the classroom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이숭녕과 김수경의 통사론 비교 -『고등국어문법』(이숭녕, 1956)과 김수경의 『조선어 문법』(김수경, 1955)를 대상으로-
- 한·중 술어명사 구문 대조 연구
- 지역 연계형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수자 인식 조사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