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남지역 신라·가야 토성의 축조기술

이용수 19

영문명
Construction Technology of Silla and Gaya Earthen Fortification in Yeongnam Area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이혁희(Hyeokhee Lee) 김진현(Jinhyeon Kim)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99호, 41~83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남지역 신라·가야 토성 연구는 최근 조사성과의 축적에 힘입어 종합 분석이 가능할 만큼 양적·질적으로 성장하였다. 이에 신라 토성 6개소와 가야 토성 7개소를 대상으로 축조공정별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신라와 가야 토성을 비교하였다. 신라와 가야 토성의 공통점은 특히 하부에서 두드러진다. 신라와 가야 모두 기저부 조성 시 불리한 조건을 극복하기 위해 효과적인 보강기술을 사용하였다. 저습지나 연약지반에서는 부엽공법, 지정말뚝 등 유기물을 활용하였고, 경사면에서는 계단상 또는 요철면으로 정지하여 마찰력을 극대화하였다. 물론 본격적인 체성의 축조에서도 성토기법과 판축기법마다 공통점이 인지된다. 특히 성토기법의 경우 경주 월성과 김해 봉황토성의 사례를 통해 협축식 성토기법 토성을 설정하여 협축식(A1식)과 편축식(A2식)으로 세분하는 성과가 있었다. 신라와 가야 토성의 차이점도 분명하다. 가야 토성의 체성 축조에서 초축성벽의 마감이나 증축성벽 축조 시 석축부를 부가하여 보강하는 방식은 가야 토성의 대표적 특징이다. 또한 고정된 목주를 활용하여 판축하는 신라 토성에 비해, 판축구조물의 해체와 재설치를 반복하여 조성한 판괴의 길이가 긴 것도 가야 토성의 특이점이다. 이는 ‘순수판축토성’ 이후 등장하는 ‘기단석렬 판축토성’ 단계에 판괴의 길이가 길어지는 현상의 시원적 형태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성곽 축조기술의 변천상에서 기술사적 연결고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주목된다.

영문 초록

Research on Silla and Gaya Earthen Fortification in Yeongnam Area has grow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enough to enable comprehensive analysis thanks to the recent accumulation of survey results.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nstruction process were analyzed for 6 sites of Silla and 7 sites of Gaya, and were compared by synthesizing them. Both Silla and Gaya Organic matter such as the Leaf mat method and the designated pile were used in the low wetland or soft ground, and the frictional force was maximized by using a stepped or uneven surface stopping method on the slop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embankment technique, by setting the soil of the narrow-type embankment technique through the cases of Wolseong and Bonghwangtoseong, there was a result of subdividing it into a narrow-type (A1) and a flat-type (A2). Gaya is reinforced by adding a stone shaft part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ment of the wall or the finishing of the reinforcement wall of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The longer the plate mass, which was created by repeated dismantling and re-installing the plate shaft structure, is another peculiarity of Gaya. This may be a primitive form of the phenomenon of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plate mass in the “Gidanseokryeol plate shaft fortress” stage that appears after the “pure plate shaft fortress”. Therefore, it is noteworthy that it is located as a technical and historical link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fortress construction technology.

목차

Ⅰ. 머리말
Ⅱ. 신라 토성의 축조기술
Ⅲ. 가야 토성의 축조기술
Ⅳ. 축조기술의 비교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혁희(Hyeokhee Lee),김진현(Jinhyeon Kim). (2024).영남지역 신라·가야 토성의 축조기술. 영남고고학, (), 41-83

MLA

이혁희(Hyeokhee Lee),김진현(Jinhyeon Kim). "영남지역 신라·가야 토성의 축조기술." 영남고고학, (2024): 41-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