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케냐 교사훈련 ODA 사업의 오너십과 현지화
이용수 93
- 영문명
- Ownership and Localization of Teacher Training ODA Project in Kenya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이한별(Hanbyul Lee)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제34권 제2호, 1~44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케냐의 교사훈련 ODA(공적개발원조) 사업에서 지식의 오너십과 현지화가 실질적으로 어떻게 적용되는지, 그리고 이러한 노력이 사업의 지속가능성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접근법을 채택했으며, 주요 자료 수집 방법은 사업의 다양한 이해관계자 및 참가자와의 인터뷰이다. 그밖에도 참여관찰, 및 문헌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그 결과, 정부 수준에서는 오너십이 확보되었으나, 최종 수혜자(교사) 수준에서는 오너십이 보장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지식의 현지화는 교사훈련 내용을 케냐의 실정에 더욱 적합하게 만드는 데 기여했다. 하지만 케냐의 교사들은 여전히 사업에 참여하여 얻은 지식을 교육 현장에 적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훈련 ODA의 최종 수혜자인 교사가 스스로 역량을 강화하고 교실 관행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혁신적이고 능동적이 되기 어려운 주변 환경을 개선하는 보다 통합적인 접근법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ownership and localization discourses are practically applied to a teacher training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ject in Kenya and how these efforts can contribute to the project’s sustainability.
This study adopted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and the primary data collection method is an interview with various stakeholders and participants of the project. The research also use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document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Ownership was ensured at a high level(government), but it was not promoted at the lower level(end-beneficiaries). Localization of knowledge contributed to making the training contents more compatible with the condition of Kenya. However, teachers still feel challenged to apply the knowledge acquired from the project in classroom practices.
Based on these findings, I suggest the necessity of motivating teachers to empower themselves and take responsibility to change classroom practices on their own. And more comprehensive approach is needed to improve surrounding circumstances that makes teachers hard to be innovative and proactiv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Design
Ⅳ. Ownership
Ⅴ. Localization
Ⅵ. Discussion
Ⅶ. Conclusion
Reference
키워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지역 간 이주배경학생의 학업자아개념 및 지원 정책의 차이 탐색
- An Analysis of the Status of After-School Activities according to China's 'Dual Reduction' Policy
- 초등학생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