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재고
이용수 50
- 영문명
- Reconsidering Iron Seated Buddha of Silsangsa in Namwon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강건우(Kun-woo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27집, 103~13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남원 실상사 약사전에 봉안된 철조여래좌상(이하 실상사 철불)은 9세기를 대표하는 선종산문의 불상이다. 이전 시기까지 금동불이나 석불 등이 불상의 주류였다는 점에서 신라하대 철불의 등장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대형 철불의 제작에는 기술력, 원료(철), 노동력이 요구된다. 실상사 철불의 조성은 왕실의 후원으로 수도 경주에서 온 장인집단의 기술력, 운봉고원 일대 23개소에 달하는 제철유적지, 수백 인의 실상사 제자들이 있었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실상사 철불은 정면을 염두에 두고 계획적으로 조성되었다. 철불의 분할된 면은 머리 부분이 8면, 몸체는 앞면이 최소 22면이고 뒷면은 8면으로 나눠져 있다. 철불의 옷주름을 따라 분할면을 나눠 정면을 자연스럽게 처리한 점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분할면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8세기 금동약사여래입상과 쓰시마(對馬島) 구로세(黑瀨) 觀音堂 소장 8세기 금동여래좌상에서 확인된다. 대형 철불의 제작에는 일반적으로 외형틀 분할주조법이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상사 철불 역시 분할주조법으로 조성되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분할주조법을 설명하면서 이탈제 부분에 대한 언급이 부족했다. 이와 관련하여 明代 『天工開物』에 철종의 주조 과정에서 외형틀 안쪽으로 쇠기름(牛油)을 발랐다는 내용이 주목된다. 대형 철불의 주조에서도 안틀과 바깥틀에 쇠기름과 같은 이탈제가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상사 철불의 존명은 「實相寺事蹟」을 근거로 노사나불로 추정된다. 선종사찰인 보림사와 삼화사에도 9세기에 노사나불을 조성하였다. 또한 실상사 철불의 수인은 일본 도다이지(東大寺) 노사나불의 수인, 삼화사 노사나불의 수인, 성주사지 부근 출토 철불편을 근거로 시무외 여원인 계통의 수인으로 보인다. 여기에 최근에 소개된 泰安寺 성보박물관에 수장 중인 철제 손 역시 시무외인으로 판단된다. 철불의 원 봉안처는 현재의 보광전 아래 4차 금당지일 가능성이 높다. 실상사 철불의 높이가 2m가 넘고, 여기에 1m 높이의 대좌에 봉안되었을 때, 철불의 전체 높이는 대략 4m에 이른다. 보광전 아래 4차 금당지는 약 99평에 이르고, 실상사 내 다른 건물지에 비해 철정이 많이 출토되었다. 철정은 기와와 목가구 등에도 사용되지만, 철불의 안틀과 바깥틀을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하거나 표면을 보완할 때 녹여서 사용할 수 있는 재료이다. 건물지의 규모와 철정이 발견된 위치로 볼 때, 실상사 철불은 건물지 15에 주존으로 봉안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영문 초록
The iron seated Buddha enshrined in Yaksajeon (藥師殿, Healing Buddha Hall, Hall of Bhaiṣajyaguru) of Silsangsa Temple (實相寺) in Namwon (南原) is a representative Buddha statue of Seon (禪) Buddhist group. The emergence of iron Buddha is highly noteworthy as the gilt-bronze Buddha and stone Buddha consisted the majority of Buddha statues of the earlier generations. The production of large iron Buddha statue requires technology, material, iron in this case, and manpower. The creation of Silsangsa iron Buddha would have been possible, thanks to the technology of artisan group who came from capital city Gyeongju, twenty-three iron production sites around Unbong plateau, hundreds of followers in Silsangsa Temple, and support of royal patrons.
Silsangsa iron Buddha faces front as it was originally planned. Iron Buddha was created by connecting metal plates: eight plates for the head, more than twenty-two plates for the front part of the body, eight plates for the rear part of the body. The plates were connected at the folds of the drapery that iron Buddha wears, so the front part looks very natural. Traces of using such technique is found only in the gilt-bronze standing Bhaiṣajyaguru Buddha in National Museum of Korea collection, and gilt-bronze seated Buddha of Kurose (黑瀨) Kannon Do (觀音堂) in Tsushima Island (對馬島), Japan. Both were made in 8th century.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piece-mold casting technique was used to caste large iron Buddha. The Silsangsa iron Buddha also seems to have been created through piece-mold casting. Preceding studies have not sufficiently treated the problem of release agent when explaining about the piece-mold casting. Tiangong Kaiwu (天工開物, The Exploitation of the Works of Nature) compiled in Ming China, mentions of painting beef tallow as a release agent inside the piece-mold to caste iron bell. It seems likely that release agent, such as beef tallow, would have been used to caste large iron Buddha, painted on inner mold and outer mold.
Silsangsa iron Buddha is supposed to be Rocana Buddha (盧舍那佛), based on the text Silsangsasajeok (實相寺事蹟, Historic Record of Silsangsa). Statues of Rocana Buddha were made in 9th century for Borimsa Temple (寶林寺) and Samhwasa Temple (三和寺), both Seon temples. Moreover, the mudra of iron Buddha in Silsangsa Temple is supposed to be combination of Abhaya-mudra and Varada-mudra as observed from mudra of Rocana Buddha of Todaiji (東大寺), Nara, Japan, mudra of Rocana Buddha of Samhwasa Temple, and a piece of iron Buddha found near Seongjusa Temple (聖住寺). In addition, the iron hand in the Taeansa Temple (泰安寺) Seongbo Museum collection recently introduced to us also seems to pose Abhaya-mudra. The location of the original shrine for the iron Buddha was probably the fourth Golden Hall site in the building site number fifteen under the present Bogwangjeon hall (普光殿). The height of the Silsangsa iron Buddha exceeds two meters (273.59cm). If it seats on the throne which is one meter high, the total height amounts to approximately four meters. The fourth Golden Hall site in the building site number fifteen under the Bogwangjeon hall is about 327㎡, or 99 pyeong: 1 pyeong equals to approximately 3.3㎡. In comparison to other building sites in Silsangsa Temple, many iron nails were found there. Iron nail was used for tiles and wooden furnitures, but it could also have been used to fix the inner mold and outer mold of iron Buddha, or be melted to enhance the surface of iron Buddha. Considering the scale of the site and the location where those nails were found, it is highly probable that Silsangsa iron Buddha was enshrined as main object of devotion in building site number fifteen.
목차
Ⅰ. 머리말
Ⅱ. 철로 만든 불상의 등장
Ⅲ. 실상사 철불의 현상과 제작기법
Ⅳ. 실상사 철불의 존명과 수인원 봉안처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기백의 한국사상사연구와 왕권
-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재고
- 『화랑세기』를 통해본 신라 화랑도의 가야파
- 백제 위덕왕의 불교적 치세관 형성과 6세기 중국의 정세 변화
- 7세기 후반 신라의 대일외교와 大宰府
- 신라 하대 철불의 수용과 후원 세력
- 辰國·辰王 기록과 ‘辰’의 명칭
- 백제멸망기 신라 수군의 성격과 역할
- 文武王 9년(669) 赦書에 보이는 ‘五逆’의 系譜
- 신라의 백률사와 관음보살상
- 『삼국사기』 후고구려·궁예 관련 기록의 계통 검토
- 박창화, 『화랑세기』 필사자에서 역사학도로
- 송산리 6호분 문양전의 성격과 무령왕릉의 역연대
- 신라 하대 선종 사원과 철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