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와 윤리의식 수준 및 관계 비교

이용수 21

영문명
Comparison of Level and Relationship in Attitudes and Ethical Awarenes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between Elementary General and Science-Gifted Students
발행기관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저자명
차현정(Hyunjung Cha) 강훈식(Hunsik Kang)
간행물 정보
『과학영재교육』제16권 제1호, 50~61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초등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의 인공지능(AI)에 대한 태도와 AI 윤리의식 수준 및 두 변인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일반 초등학교의 5-6학년 학생 90명과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소속된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87명을 선정한 뒤, AI에 대한 태도 검사와 AI 윤리의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독립표본 t-검증 결과, AI에 대한 태도의 전체와 모든 하위 영역에서 일반 학생보다 과학영재 학생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AI 윤리의식 전체와 하위 영역 중 ‘안정성·신뢰성’, ‘투명성·설명 가능성’, ‘로봇의 권리’에서 일반 학생보다 과학영재 학생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러나 ‘차별금지’와 ‘고용’에서는 두 그룹 간의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상관분석 결과, 초등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 모두에게서 AI에 대한 태도와 AI 윤리의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특히 AI에 대한 태도의 5개 하위 영역은 AI 윤리의식 전체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지만, 신뢰도가 높았던 AI 윤리의식의 5개 하위 영역 중에서는 3∼4개 하위 영역과만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AI에 대한 태도, 특히 하위 영역 중 ‘AI와 감정교류’ 및 ‘AI의 사회적 영향’과 AI 윤리의식의 상관계수는 초등 일반 학생보다 과학영재 학생에게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크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d the level and relationship in attitudes and ethical awarenes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AI) between elementary general and science-gif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90 elementary general students in grades5-6 and 87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in grades 5-6 were selected, and their attitudes toward AI and ethical awareness toward AI were tested. The results of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showed that the means of the science-gifted stud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general students in the overall and all sub-scales of attitudes toward AI. In addition, the means of the science-gifted stud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general students in the overall and three sub-domains (‘stability and reliability’, ‘transparency and explanability’, and ‘robot rights’) of ethical awareness toward AI. However,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wo sub-domains (‘no discrimination’ and ‘employment’) of ethical awareness toward AI.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ttitudes and ethical awareness toward AI in both elementary general and science-gifted students. In particular, five sub-domains of attitudes toward AI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overall of ethical awareness toward AI and three or four in the five sub-domains of ethical awareness toward AI with high reliabil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ethical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 AI, especially the two sub-domains of ‘emotional interaction with AI’ and ‘social influence of AI’,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arger for the science-gifted students than for the general student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현정(Hyunjung Cha),강훈식(Hunsik Kang). (2024).초등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와 윤리의식 수준 및 관계 비교. 과학영재교육, 16 (1), 50-61

MLA

차현정(Hyunjung Cha),강훈식(Hunsik Kang). "초등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와 윤리의식 수준 및 관계 비교." 과학영재교육, 16.1(2024): 50-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