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프랑스 메세나 연구 - 문화 메세나의 정책적 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26

영문명
French Mecenat Study - Focusing on changes in the policy structure of cultural Mecenat
발행기관
한국문화경제학회
저자명
김한별(Kim Hanbyul) 김설아(Kim Soelah)
간행물 정보
『문화경제연구』제27권 제1호, 273~29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프랑스 메세나 정책의 역사적 발전과 현대적 실천을 분석하여 한국 메세나 문화 발전에 대한 시사점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프랑스는 메세나 문화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는 국가로, 국가와 민간의 협력을 통한 문화예술 후원의 모범적인 체계를 구축 해 왔다. 프랑스 메세나 정책은 2003년 이전의 메세나의 개념 및 체계 구축의 논의에서부 터 시작하여, 2003년 ‘아야공법’ 제정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발전, 확장되었다. 이 과정 에서 국가가 문화를 독점하지 않고 공공의 이익을 위해 민간이 함께 메세나에 참여토록 하는 방향으로 정책은 변화를 겪게 된다. 마크롱 정부 체제가 들어선 2017년 이후 메세나 를 관리하고 통제하는 법적 체제의 정립과 중앙-지방정부의 메세나 협력 네트워크의 개발 로, 메세나 정책은 더 체계적이면서 단단한 구조를 지니게 된다. 이러한 메세나 정책의 변화는 프랑스 정부의 문화예술에 대한 접근 태도 및 정책적 철학을 보여준다 할 수 있 다. 메세나 문화를 확장하고 지속가능하도록 프랑스의 메세나 정책은 우리나라의 문화행 정 분야나 문화예술계가 고려해야할 좋은 예라 할 것이다. 나아가 정권의 성격에 따라 매 번 문화예술 정책의 방향이 바뀌기보다는 공통된 기조하에 그 정책적 스케치를 고쳐가는 프랑스 문화정책의 진화 과정은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여겨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contemporary practices of French Mecenat policy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ecenat culture in Korea. France plays a leading role in Mecenat culture, having established an exemplary system of cultural and artistic supporting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French Mecenat policy, which began with discussions on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Mecenat before 2003, saw substantial development and expansion following the enactment of the 'Aillagon Law' in 2003. In this process, the government's policy changed to ensure that the private sector participates in Mecenat for the common good rather than monopolizing culture. In 2017, under the Macron administration, a system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Mecenat was developed, along with a Mecenat cooperation network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Consequently, the Mecenat policy became more systematic and acquired a more solid structure. This change in Mecenat policy signifies the French government's approach and policy philosophy toward culture and arts. To cultivate and perpetuate the culture of Mecenat, France's Mecenat policy serves as an exemplary model that the cultural administration and arts community in our country should take into account. Furthermore, the evolution of French cultural policy, which modifies its strategic outline under a common theme rather than changing entirely with each administration, offers significant insights for Korean societ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한별(Kim Hanbyul),김설아(Kim Soelah). (2024).프랑스 메세나 연구 - 문화 메세나의 정책적 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문화경제연구, 27 (1), 273-298

MLA

김한별(Kim Hanbyul),김설아(Kim Soelah). "프랑스 메세나 연구 - 문화 메세나의 정책적 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문화경제연구, 27.1(2024): 273-2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