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콩 주산지의 공간적 변화 동향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Trend analysis on the spatial changes in soybeans main producing areas
발행기관
한국지역경제학회
저자명
최동칠(Choi, Dong-chil) 송해안(Song, Hae-an)
간행물 정보
『한국지역경제연구』제14권 제3호, 61~7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주산지 개념을 검토하고, 통계청 농업총조사의 콩 재배면적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 콩 재배면적의 40%를 점유하고 있는 콩 주산지 19개 시군을 대상으로 2005년부터 2010년 까지 콩 주산지의 공간적 변화동향을 권역별, 농업지역별로 분석하였다. 권역별로 중부내륙권역에 44.8%, 서남해안권역에 47.8%가 분포되었고, 농업지역별로는 평야지역에 50.1%, 중산간지역이 49.1%가 분포되었다. 주산지 시군 내 농협별 규모별 콩 재배면적은 100ha 이하가 36.6%, 200ha 이상이 33.4% 이었다. 논콩 재배면적은 1990년에 4.3%이었으나 2014년에는 14.4%로 증가되고 있다. 도별로는 2014년에 전북이 32.8%, 경남이 28.1%, 경북이 18.2%로 가장 높다. 콩 주산지 중심의 콩 산업육성을 위해서는 주산지 지정규모를 1,000ha에서 500ha로 하향조정하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fined the main producing areas concepts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spatial changing trend targets 19 counties soybeans main producing areas, which account for 40% of the national soybean acreage. It was analyzed by region local agricultural distribution trends in the main producing areas using soybean acreage agricultural census data from of Statistical Office from 2005 to 2010. The ratio of soybean acreage was 44.8% in the central inland zones, 47.8% in the southwest coast zones and 50.1% in the plains areas, 49.1% in the middle mountainous areas Agricultural main producing areas and counties within each bean acreage. Soybean acreage of agricultural cooperatives within cities and counties as the main producing areas was less than 100ha 36.6%, 200ha more than 33.4%. A main producing areas of a soybean witch cultivated in rice field was increased from 4.3% in 1990 to 14.4% in 2014. TO look into each province, A main producing areas of a soybean witch cultivated in rice field in 2014 was Chunbuk(32.8%), Kyungnam(28.1%), Kyungbuk(18.2%). For soybean industry development mainly on the main producing areas is a need to review the plans for adjusting the size specified in the main producing areas 1,000ha to 500ha.

목차

Ⅰ. 서론
Ⅱ. 주산지 개념과 확산요인의 이론적 검토
Ⅲ. 콩 주산지의 공간적 변화 동향 분석
Ⅳ. 요약 및 정책적 함축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동칠(Choi, Dong-chil),송해안(Song, Hae-an). (2016).콩 주산지의 공간적 변화 동향 분석. 한국지역경제연구, 14 (3), 61-79

MLA

최동칠(Choi, Dong-chil),송해안(Song, Hae-an). "콩 주산지의 공간적 변화 동향 분석." 한국지역경제연구, 14.3(2016): 61-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