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응급실을 내원한 약물중독 자살시도자의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참여 영향요인

이용수 53

영문명
Factors affecting registration of emergency room based post-suicidal attempt care program for drug intoxication suicide attempters who visited an emergency room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윤인아(Yun In Ah) 전미양(Jeon Mi Yang)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27호, 51~6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8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국가에서 자살시도자의 자살 재시도를 예방하기 위해 시행하는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에 약물중독 자살시도자가 참여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방법: 본 연구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약물중독으로 자살을 시도하고 응급실을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참여자와 미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약물중독관련 특성, 치료관련 특성을 비교한 후향적 조사연구이었다. 결과: 약물중독 자살시도로 응급실을 내원한 대상자는 416명이었으며,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참여자는 246명(59.1%), 미참여자는 170명(40.9%)이었다. 사후관리사업 참여자와 미 참여자간에 정신질환(χ2=124.91, p<.001), 내원시간(χ2=8.92, p=.030), 수축기혈압(χ2=4.71, p=.030), 중등도(χ2=12.42, p=.006)에 차이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약물중독 자살시도자의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참여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살시도자를 최초 면담하고, 퇴원교육을 실시하는 응급실 간호사의 자살시도자 대응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과 자살시도자가 응급실 퇴원 후 지역사회 상담기관과 연계할 수 있는 행정시스템의 개발 등 자살 재시도를 방지할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participation of drug intoxication suicide attempters in emergency room-based post-suicide attempt care program for suicide attempters, which is implemented by the country to prevent re-attempts by suicide attempters. Method: This study targeted suicide attempters who attempted suicide by drugs intoxication and visited an emergency room from January 1, 2020 to December 31, 2021.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that compar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rug intoxication-related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related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an emergency room-based post-suicide attempt care program. Results: There were 416 subjects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due to suicide attempt drug intoxication. 246 (59.1%) participated in the emergency room-based post-suicide attempt care program and 170 (40.9%) did not participate.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emergency room-based post-suicide attempt care program was significant difference mental illness was significant difference mental illness (χ2=124.91, p<.001), hospital visit time (χ2=8.92, p=.030), systolic blood pressure (χ2=4.71, p=.030), and moderate severity (χ2=12.42, p=.006).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of drug intoxicated suicide attempters in the emergency room-based post-suicide attempter care program,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emergency room nurses who initially interview suicide attempters and provide discharge education to respond to suicide attempters. We also suggest developing strategies to prevent suicide re-attempts, such as the development of an administrative system that allows suicide attempters to connect with community counseling organizations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emergency roo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인아(Yun In Ah),전미양(Jeon Mi Yang). (2024).응급실을 내원한 약물중독 자살시도자의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참여 영향요인. 안전문화연구, (), 51-63

MLA

윤인아(Yun In Ah),전미양(Jeon Mi Yang). "응급실을 내원한 약물중독 자살시도자의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참여 영향요인." 안전문화연구, (2024): 51-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