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복지종사자의 안전을 위한 보호체계 구축사업의 성과 및 발전방안 연구

이용수 41

영문명
A Study on Performance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Protection System for Safety of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 Applying Mixed Methodology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권자영(Kwon Ja Young) 박향경(Park Hyang Kyung)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27호, 1~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8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원으로 수행된 ‘사회복지종사자의 안전을 위한 보호체계구축사업’ 의 성과를 평가하고 사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양적연구는 사업의 성과관리 대장에 기록된 1,23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9.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사전 · 사후 외상 후 성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는 9명의 사업수행담당자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GI)을 통해 사업수행과정에서 경험한 사업수행 시 어려웠던 점, 사업수행을 위한 문제해결 노력, 사업의 성과,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방안 등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N-vivo 9을 활용하였다. 양적연구 결과로는 첫째, 조사대상자들은 직무외상의 유형가운데 직무상 폭력경험이 53.2%로 가장 높았으며 기타 19.8%, 대리외상 18.5% 그리고 상실(사망경험) 8.6% 순으로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차분석결과 성별, 연령, 소속기관의 유형과 직무외상의 유형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직무외상을 경험한 사회복지종사자에게 다양한 회복지원을 제공한 한 결과 사전 · 사후의 ‘외상 후 성장’을 측정한 결과 외상 후 성장의 향상이라는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었다. 질적분석 결과로는 첫째, 그간 조명받지 못했던 사회복지종사자 안전과 인권에 대한 인식개선과 의식이 향상되고 문제해결에 대한 개인, 조직, 사회의 공동책임의식이 높아졌다. 둘째, 관련 조례제(개)정과 사회복지기관의 안전한 물리적 환경 조성 등 보호와 안전체계의 기본 틀이 갖춰졌다는 점이다. 셋째, 사회복지종사자의 회복과 역량이 강화되었다. 끝으로 본 사업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발전방안으로 다양한 회복지원서비스 마련과 안전교육, 대처훈련 등의 개발, 사회복지종사자의 안전과 인권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관련 전문인력의 양성, 조직(기관)과 지역사회 환경의 변화, 그리고 관련 법적, 제도적 근거 마련 등의 과제가 도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hievements of the “Establishment of a Protective System for the Safety of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project, which has been supported by the Community Chest of Korea from 2019 to 2022, and to propose future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project. To do this, a mixed research method was employed. Quantitative research utilized data from 1,235 individuals recorded in the performance management records of the project.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9.0,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tabulation. Changes in pre-post traumatic growth among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were analyzed through paired-sample t-tests. Qualitative research involved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ith 9 project managers to analyze difficulties encountered during project implementation, problem-solving efforts for project execution, project outcomes, and strategies for project sustainability. Data collected through FGIs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and N-vivo 9.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types of job-related trauma, the proportion of subjects who experienced job-related violence was the highest at 53.2%, followed by 19.8% for other types, 18.5% for vicarious trauma, and 8.6% for loss (death experience). Second, cross-analysis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ge, type of affiliated institution, and type of job-related trauma. Third, as a result of providing various recovery support to social workers who have experienced occupational trauma, positive changes in “post-traumatic growth” were observed when measuring pre- and post-traumatic growth. This chan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an improvement in awareness and consciousness among social workers regarding safety and human rights, which had previously not received much attention. There was an increased sense of personal, organizational, and societal responsibility for problem-solving. Second, the framework of protection and safety systems has been established, including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related regulations and the creation of a safe physical environment in social welfare agencies. Third, the recovery and capacity of social workers have been strengthened. As a development strategy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this project, several tasks have been identified. These include the development of various recovery support servic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safety education and coping training programs, providing continuous education on safety and human rights for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fostering relevant professionals, adapting to changes in organizational and community environments, and establishing relevant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자영(Kwon Ja Young),박향경(Park Hyang Kyung). (2024).사회복지종사자의 안전을 위한 보호체계 구축사업의 성과 및 발전방안 연구. 안전문화연구, (), 1-18

MLA

권자영(Kwon Ja Young),박향경(Park Hyang Kyung). "사회복지종사자의 안전을 위한 보호체계 구축사업의 성과 및 발전방안 연구." 안전문화연구, (2024): 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