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4년 1월 월간건설시장동향
이용수 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 저자명
- CERIK
- 간행물 정보
- 『월간 건설·부동산 동향(구 월간건설경기동향)』월간 건설·부동산 동향 2024,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건축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 (건설수주) 2023년 11월 국내 건설수주는 12.8조 원(전월 대비 -9.9%, 전년 동월 대비 -26.0%)
- 공공수주는 기저효과로 건축 공종이 양호한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5.8% 증가
- 민간수주는 모든 공종에서 부진,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해 35.4% 감소
- 결국, 건설수주는 지난 10월 전년 동월 대비 26.7% 증가하면서 9개월 만에 증가했지만, 11월에 26.0% 감소해 다시 부진한 모습을 보임
◎ (건설기성) 2023년 11월 건설기성액은 15.4조 원(전월 대비 +6.0%, 전년 동월 대비 +3.6%)
- 공공이 전년 동월 대비 9.8% 감소해 부진했지만, 민간이 6.5% 증가해 양호
- 공종별로는 토목(-0.6%)이 부진했지만, 건축(+4.9%)이 양호
◎ (각종 건설물가) 건설 관련 물가의 경우 10월에 이어, 전반적으로 건설용 수입 중간재 가격이 감소한 영향으로 둔화되고 있는 모습
- 11월 건설공사비지수, 건설기성 디플레이터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이 플러스(+)를 기록한 가운데, 지난 10월에 비해 증가폭이 소폭 하락
- 8~10월에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를 보였던 일반철근과 고장력철근 가격이 11월에 마이너스(-) 증감률로 전환. 다만, 시멘트와 고로슬래그 등 비금속 자재는 여전히 10% 전후의 상승세를 지속
◎ (건설고용) 2023년 11월 건설업 취업자 수는 218만 명(전월 대비 +1.4%, 전년 동월 대비 +1.5%)
◎ (국내 건설시장 상황 진단) 11월 선행지표인 건설수주는 민간부문 중심으로 다시 감소, 건설기성의 경우도 증가세가 크게 둔화
- 11월 건설기성은 증가세가 둔화(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 9월~11월 +14.5% → 6.1% → 3.6%)되는 모습을 보임
- 이는 공공기성이 감소세를 지속(10~11월 각각 –9.5%, -9.8%)하고 민간기성의 증가세도 일부 둔화되었기 때문(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 10월 8.6% → 11월 6.5%)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