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新羅 下代 浿江鎭의 정세와 平山 山城里 출토유물의 성격

이용수 59

영문명
The situation at the late-Silla period(下代) Paegang-jin(浿江鎭) and the nature of the artifacts excavated in Sanseong-ri, Pyeongsan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저자명
고태진(Taejin Ko)
간행물 정보
『중앙사론』제60집, 49~94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과 고고자료의 정합적 이해라는 문제의식에서 황해도 평산 산성리 출토유물의 성격을 재검토하고, 나아가 신라 하대 변경사회의 분위기를 재음미하는 것에 있다. 산성리 출토유물의 발견 경위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에서 확인가능하다. 유물은 비교적 얕은 위치에서 별도의 추가 시설 없이 발견되었으므로, 고분 부장품일 가능성은 적다. 출토유물은 철제금은입사호등, 청동제 오화형 그릇, 청동제 숟가락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9세기 후반 이후로 편년된다. 한편 유물이 발견된 장소에 대한 공간적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新羅 下代 浿江鎭의 존재 양태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 제한적으로나마 頭上大監을 소재로 9세기 패강진의 官制 운영 양상을 재구성할 경우, 패강진은 9세기 말까지 王孫이 파견되고 관제에 부합한 장관이 부임하는 등‘정상적’인 운영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895년부터 본격화되는 궁예의 패서 진출 과정에서, 패강진은 불과 10여년 만에 파국을 맞이한다. 최근 산성리 출토유물의 성격에 대해서는 ‘의례적 의미’를 도출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장식성이 매우 강한 유물을 대량으로 헌납해야만하는 제의의 정체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따라서 유물의 ‘의례적 성격’을 직접적으로 뒷받침 할 當代의 자료가 추가적으로 제시되지 않는 이상, 산성리 출토유물은 9세기 말 정치적 변고에 따른 ‘퇴장유물’로 이해하는 것이 순리다. 9세기 후반 패강진에서는 경주 인근에서조차 찾아보기 힘든 장식 호등과 중국 황실의 그것과 유사한 계통의 오화형 그릇이 향유되고 있었다. 신라 하대 변경사회에 대해 다시 고민해볼 시점이며, 그러한 점에서 산성리 출토유물의 위상은 자못 중요하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review the nature of the artifact assemblage excavated in Sanseong-ri, Pyeongsan, Hwanghae-do, and further to reappreciate the atmosphere in the frontier society during the late-Silla period(下代), under the consideration that textual and archaeologicaldata need to be understood along with each other. The contexts surrounding the discovery of the assemblage can be found from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Museum of Korea document, which is now stor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ince the artifacts were discovered in a relatively shallow depth without any additional structures, it is unlikely that they were grave goods. The artifact assemblage is composed of decorative cup-shaped stirrups(壺鐙), flower-shaped bronze dishes, and bronze spoons, which are dated to the late 9th century CE. To understand the spatial meaning of the site where the artifacts were discovered, how Paegang-jin(浿江鎭) operated during the late-Silla period deserves consideration. The reconstruction of how the appointment rule according to governmental rank system worked in the 9th century Paegang-jin regarding its head, Dusangdaegam(頭上大監), reveals that the royals were sent and the ministers corresponding to the rule were appointed here, and in this regard, it operated quite normally. In 895, however, as Gungye's advance into this region became active, Paegang-jin came to its end in no more than 10 years. Recently, there is a strong trend to draw out ‘ritual meaning’ regarding the nature of the Sanseong-ri artifacts. However, it is still unclear what the ritual is, which required the sacrifice of the elaborately decorated artifacts in such a large amount. Therefore, until any additional contemporary data directly supporting the ‘ritual nature’ of the artifacts are presented, it would be reasonable to understand the Sanseong-ri artifacts as ‘hoards(退藏遺物)’, resulting from the political turmoil at the end of the 9th century. In the 9th century, Paegang-jin enjoyed the flower-shaped bronze dishes of similar origin to Chinese imperial family’s as well as the decorative cup-shaped stirrups hardly found even near the capital. It is time to reconsider the frontier society during the late-Silla period and in this regard, the status of the Sanseong-ri artifacts is quite significant.

목차

Ⅰ. 머리말
Ⅱ. 平山 山城里 출토유물 개관
Ⅲ. 下代 浿江鎭의 존재 양태
Ⅳ. 平山 山城里 출토유물의 성격과 그 함의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태진(Taejin Ko). (2023).新羅 下代 浿江鎭의 정세와 平山 山城里 출토유물의 성격. 중앙사론, (), 49-94

MLA

고태진(Taejin Ko). "新羅 下代 浿江鎭의 정세와 平山 山城里 출토유물의 성격." 중앙사론, (2023): 49-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