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테러방지법상 군(軍) 역할에 관한 법적 검토와 개정방향에 관한 제언

이용수 28

영문명
A Legal Review on Military Roles in the Act on Counter-Terrorism and a Proposal of the Direction of Amendment
발행기관
한국공안행정학회
저자명
백상진
간행물 정보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2권 4호, 229~25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의 외부적 혹은 내부적 요인에 의하여 국가중요시설이나 다중이용시설 등의 사회기반시설이 집중되어 있는 도심지역에서 복합적 메가테러가 발생하여 대규모 인명이나 재산 피해가 야기될 경우 제한된 경찰력으로 대응하기에는 한계에 봉착하므로 부득불 군(軍) 병력으로 국가 및 국민의 안전을 보호하고 공공질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테러대응체제에 따르면, 군 전력의 투입은 원칙적으로 군사시설에 대한 테러의 경우에 한정하고 있으며, 이때 국방부와 합참을 중심으로 한 대응체계가 잘 정비되어 있으므로 별다른 논란이 없어 보인다. 다만 대책본부장의 지원요청이 있을 경우 예외적으로 군사시설 이외에서도 군 전력 운용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부족한 경찰력을 보완하기 위한 예외적 필요성을 인정하더라도 헌법적 질서를 고려해 볼 때 민간영역에 대한 군의 개입은 엄격히 제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국가비상사태 등과 같은 상황에서 군의 개입으로 국가 치안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한 계엄법처럼, 테러방지법에서도 군의 대테러작전부대가 예외적으로 국내상황에 개입할 때 그 출동 및 철수 절차, 업무범위에 관하여 테러방지법에 신설하도록 구체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국내의 대테러 활동은 본질적으로 사회질서 및 치안 유지를 위한 공권력 작용이므로 원칙적으로는 경찰력에 의한 테러 예방 및 진압활동이 수행되어야 한다. 예외적으로 부득불 국방부 소속 대테러작전부대가 투입되어야 한다면 이 논문에서 개정안을 제시한 것처럼, ‘경찰력의 테러대응 한계’, ‘긴급한 지원의 필요성’, ‘국가테러대책위원장의 건의’, ‘대통령의 승인’ 등의 요건뿐만 아니라 국회 통고 및 국회의 철수 요구 절차 등 국회 통제절차와 군 대테러작전부대의 업무범위도 테러방지법에 신설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oday, terrorism becomes a threat in the form of megaterrorism triggering a transnational disaster that causes reckless and large damage. The Korean government dispatches troops as peace keeping force for various activitie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is reason, Korea comes to be a target of an international terrorist group. In particular, externally, since South Korea has a hostile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which is equipped with an advanced ability of terrorism, it always faces the threat of terrorism.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to make preemptive prevention and responses in the comprehensive security dimension. In addition, internally, the country has frequence access of foreigners and an increased number of North Korean refugees due to its growing activities in the world; severe social discontent along with the increase in unemployment rate and the widening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such a structural setting as high population density suitable for new terrorism. In this circumstance, blended terrorism is likely to occur simultaneously. If these external or internal factors trigger complex megaterrorism in an urban area where important national facilities, multi-purpose facilities, or other social infrastructure are concentrated, and thereby a lot of human lives and assets are damaged, it is impossible to respond to such a disaster with limited police force. For this reason, it is inevitable to protect the security of the nation and the public and maintain public order with the use of military force. According to the counter-terrorism system of South Korea, in principle, military force is put in only if a terror is posed to military facilities. In this case, there is no controversy, because the system is well establish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the Joint Chiefs of Staff. If the head of the countermeasure headquarters makes a request of support, exceptionally, it is possible to operate military force as well as military facilities. Even if the exceptional necessity to make up for insufficient police force is accepted, it is unavoidable to restrict military intervention in the private sector strictly in terms of constitutional order.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suggest the establishment of new provisions pertinent to military presence and withdrawal procedures and the scope of work in the Act on Counter-Terrorism when counter-terrorism operation forces exceptionally intervene in a domestic situation, just as in Martial Law Act according to which military forces are allowed to intervene in such a situation as a state of national emergency in order to maintain public order. Essentially, the domestic counter-terrorism activity is use of public power for protecting social order and security. Therefore, in principle, it is required to prevent terrorism and take suppression activity with the use of police force. Exceptionally, if it is inevitable to put in the counter-terrorism operation forces under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new provisions suggested in this study, including ‘the limitations of the counter-terrorism of police force’, ‘the necessity of urgent support’, ‘the proposal by the director of National Counter Terrorism Committee’, ‘the approval by the President’, the control procedures of the National Assembly, such as notification to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procedure of withdrawal request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scope of work, in the Act on Counter-Terrorism.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민간 치안유지를 위한 군병력 출동의 법적 근거 및 테러대응 체계
Ⅲ. 민간영역에서 대테러 활동을 위한 군 역할의 비판적 검토
Ⅳ. 테러방지법상 군 역할의 개정방향에 대한 제언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상진. (2023).테러방지법상 군(軍) 역할에 관한 법적 검토와 개정방향에 관한 제언.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2 (4), 229-257

MLA

백상진. "테러방지법상 군(軍) 역할에 관한 법적 검토와 개정방향에 관한 제언."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2.4(2023): 229-2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