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디어 유형별 긍정적 경찰 접촉경험이 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5

영문명
The Impact of Positive Police Contact Experiences with Different Types of Media on Police Trust: A Focus on Average Comparisons Based on Individual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발행기관
한국공안행정학회
저자명
박주애 윤상구 이창배
간행물 정보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2권 4호, 171~19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문화배양이론을 기반으로 미디어의 유형에 따라 경찰에 대한 긍정적 접촉경험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차이가 시민들의 경찰신뢰에도 상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자주 접촉하는 미디어의 유형이 달라질 수 있음을 가정하여, 실제 미디어 유형에 따른 경찰의 긍정적 접촉경험이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미디어의 유형에는 전통적 일방형 미디어(TV프로그램, TV뉴스, 영화)와 쌍방형 미디어(인터넷 기사, SNS) 유형을 모두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가지의 미디어 유형 중 TV프로그램, TV뉴스, 인터넷 기사, SNS를 통한 긍정적 경찰접촉경험이 시민들의 경찰신뢰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에 따른 긍정적 경찰접촉에 평균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경찰신뢰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 차별적 미디어 활용전략의 수립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based on the cultivation theory, aimed to verify the impact of positive police contact experiences through different types of media on citizens' trust in the police. Specifically, it was hypothesized that positive contact experiences with the polic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a, and such variations may have different effects on citizens' trust in the police. Additionally, conside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study assumed that the types of media frequently encountered may differ, and it sought to validate whether positive police contact experiences based on actual media types exhibit variations according to individuals'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types of media included both traditional one-way media (TV programs, TV news, movies) and two-way media (internet articles, social medi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five types of media, positive police contact experiences through TV programs, TV news, internet articles, and social media services had a positive impact on citizens' trust in the police. Second, among individual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average differences in positive police contact based on age. Specifically, positive police contact experiences through TV news were more prevalent among those aged 60 and above compared to those aged 20-30, and positive police contact experiences through internet articles were higher on average for individuals aged 50-60 compared to those in their 30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aims to propose effective strategies for media usage to enhance police trus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주애,윤상구,이창배. (2023).미디어 유형별 긍정적 경찰 접촉경험이 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2 (4), 171-196

MLA

박주애,윤상구,이창배. "미디어 유형별 긍정적 경찰 접촉경험이 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2.4(2023): 171-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