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디어 유형별 긍정적 경찰 접촉경험이 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9
- 영문명
- The Impact of Positive Police Contact Experiences with Different Types of Media on Police Trust: A Focus on Average Comparisons Based on Individual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박주애 윤상구 이창배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2권 4호, 171~19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문화배양이론을 기반으로 미디어의 유형에 따라 경찰에 대한 긍정적 접촉경험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차이가 시민들의 경찰신뢰에도 상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자주 접촉하는 미디어의 유형이 달라질 수 있음을 가정하여, 실제 미디어 유형에 따른 경찰의 긍정적 접촉경험이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미디어의 유형에는 전통적 일방형 미디어(TV프로그램, TV뉴스, 영화)와 쌍방형 미디어(인터넷 기사, SNS) 유형을 모두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가지의 미디어 유형 중 TV프로그램, TV뉴스, 인터넷 기사, SNS를 통한 긍정적 경찰접촉경험이 시민들의 경찰신뢰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에 따른 긍정적 경찰접촉에 평균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경찰신뢰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 차별적 미디어 활용전략의 수립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based on the cultivation theory, aimed to verify the impact of positive police contact experiences through different types of media on citizens' trust in the police. Specifically, it was hypothesized that positive contact experiences with the polic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a, and such variations may have different effects on citizens' trust in the police. Additionally, conside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study assumed that the types of media frequently encountered may differ, and it sought to validate whether positive police contact experiences based on actual media types exhibit variations according to individuals'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types of media included both traditional one-way media (TV programs, TV news, movies) and two-way media (internet articles, social medi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five types of media, positive police contact experiences through TV programs, TV news, internet articles, and social media services had a positive impact on citizens' trust in the police. Second, among individual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average differences in positive police contact based on age. Specifically, positive police contact experiences through TV news were more prevalent among those aged 60 and above compared to those aged 20-30, and positive police contact experiences through internet articles were higher on average for individuals aged 50-60 compared to those in their 30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aims to propose effective strategies for media usage to enhance police trus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 마약산업의 주요 실행 주체와 생산 시설 연구
- 헌법정신과 인권에 관한 연구
- 전자감독대상자의 전과와 준수사항 위반행동의 관계
- 정부기관 청렴도 인식이 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정부기관 신뢰의 매개효과
- 외국인 밀집지역 거주 외국인의 범죄두려움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 국외교육훈련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폭력적ㆍ치명적 공격에 대한 경찰 물리력 행사 연구
- 경찰관기동대의 현장대응력 제고 연구
- 노인의 가족 내 차별과 범죄 피해에 관한 연구
- 미디어 유형별 긍정적 경찰 접촉경험이 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
- 주취살인에 대한 법원의 양형 동향 분석
- 테러방지법상 군(軍) 역할에 관한 법적 검토와 개정방향에 관한 제언
- 정신장애 범죄인에 대한 형사법적 대응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