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부기관 청렴도 인식이 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정부기관 신뢰의 매개효과
이용수 76
- 영문명
- The impact of perceived integrity of government agencies on trust in the poli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agencies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소영 정보성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2권 4호, 27~5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내 경찰신뢰 영향요인 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경찰활동 관련 변수(공정성, 효과성 등)에 한정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경찰은 행정안전부 소속 정부기관의 하나로, 경찰활동의 개선 또는 시민들의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 개선만으로는 경찰신뢰를 제고하는 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국외 선행연구들에서는 더 나아가 국가 단위의 변수를 활용한 비교연구를 통해 경찰신뢰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있기도 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민들의 정부기관 청렴도 인식이 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영향 관계에서 정부기관 신뢰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한국행정연구원이 2021년 「거버넌스와 한국사회 신뢰수준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집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양적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정부기관 신뢰는 정부기관 청렴도와 경찰신뢰 사이에서 유의미한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현대 경찰활동 패러다임의 기초인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필수요소로서 경찰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한 연장선상의 경찰신뢰 제고 논의가 좀 더 광범위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국외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관련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국내에 적용하기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작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Looking at previous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trust in police in Korea, we can see that most of them are limited to variables related to police activities (fairness, effectiveness, etc.). However, the police is one of the government agencies under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improving police activities or citizens' awareness of police activities alone may not be enough to increase trust in the police. Previous overseas studies have gone further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rust in the police through comparative studies using country-level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citizens' perception of the integrity of government agencies on trust in the police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agencies in that influence relationship. Accordingl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conducted a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collected as part of the 2021 “Study on Governance and the Level of Trust in Korean Socie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rust in government agencie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integrity of government agencies and trust in the police.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more broadly discuss improving trust in the police in order to elicit police cooperation as an essential element of community police activities, which is the basis of the modern police activity paradigm. Therefore, in follow-up research, related influencing factors should be explored through a review of overseas previous research, and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work to apply it domestically should be prioritiz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 마약산업의 주요 실행 주체와 생산 시설 연구
- 헌법정신과 인권에 관한 연구
- 전자감독대상자의 전과와 준수사항 위반행동의 관계
- 정부기관 청렴도 인식이 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정부기관 신뢰의 매개효과
- 외국인 밀집지역 거주 외국인의 범죄두려움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 국외교육훈련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폭력적ㆍ치명적 공격에 대한 경찰 물리력 행사 연구
- 경찰관기동대의 현장대응력 제고 연구
- 노인의 가족 내 차별과 범죄 피해에 관한 연구
- 미디어 유형별 긍정적 경찰 접촉경험이 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
- 주취살인에 대한 법원의 양형 동향 분석
- 테러방지법상 군(軍) 역할에 관한 법적 검토와 개정방향에 관한 제언
- 정신장애 범죄인에 대한 형사법적 대응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