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성과와 학교기반 교육학에 대한 문제제기(2000-2023)

이용수 229

영문명
Academic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in Korea and the contributions to school-based education theories in general (2000-2023)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한숭희(Soonghee Han)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제29권 제4호, 1~47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한국교육학회 70주년을 계기로, 그 동안 평생교육학이 교육학 전체에 어떤 학문적이고 이론적 기여를 해왔는지를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평생교육학이 어떻게 학교교육학의 이론적 지형을 변형해왔으며, 그 외곽에 어떠한 새로운 교육체계와 이론적 지향점을 구축해왔는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동 학회가 지난 20여 년 동안 발간해 온 <평생교육학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의 내용을 재분류하고 그 흐름 속에서 기존 교육학과 대비되는 평생교육학의 이론적 기여도를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생교육학 연구들은 끊임없이 학교교육 및 사회교육과 차별적인 자기 정체성을 개발해 왔지만, 초기 사회교육의 정신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교육의 개념, 대안적 가치, 학습이론, 활동 영역과 지향적 가치 등을 창출해 왔다. (2) 특히 평생학습에 관한 이론 연구는 학교학습과 대비하여 새로운 학습이론의 출발점이자 동시에 새로운 학습과학 영역의 창출이라는 성과를 도출했다. (3) 고등평생교육 영역과 성인교육 영역에 대한 지속적인 제도화 과정은 그 자체로 평생학습체제의 구축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 학교와 대학의 근대주의적 구조를 변형하고 대체할 수 있는 포스트 근대적 교육체계를 생산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4) 평생교육학은 교육학의 담론의 중심을 교육에서 학습으로 전환하면서 그 안에서 학교사회 대 학습사회라는 대치 구도를 형성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rk the 7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 and to reveal what kinds of academic and theoretical contribution that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has made to the overall educational sciences in general. In particular, what this study focuses on is exploring what the lifelong education theories have been constructed and how they gave impact on the dominant school-centered mainstream educational theories. Among many, this article investigates how lifelong education as theory has transformed the theoretical landscape of school-centered ontologies in pedagog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classified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which the Korean Society for Study in Lifelong Education has published over the past 20 years, and extracted the theoretical contrasts that lifelong education created in comparison with existing school-based educational theories from that flow.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pursue of the foundational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the researches of lifelong education have continuously created alternative educational concepts, values, and learning theories that gave impacts on transforming or replacing the theories and practices of Korea’s school education system. (2) In particular, researches and theories on lifelong learning resulted in the new starting point of alternative learning theories and, at the same time, the creation of a new field of learning sciences. (3) The continuous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in the areas of adult and higher lifelong education was a consequence of the efforts, and also it was an effective leverage of education system in post-schooling era that transforms and replaces the traditional structure of the schools and universities. (4) Lifelong education has shifted the focus of pedagogical discourse from education to learning, from which the dominant “schooled society” was gradually de-territorialized and re-territorialized towards “learning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기존 교육학에 대비된 평생교육학의 존재론적 차이
Ⅲ. 한국 평생교육학: 사회교육의 전통
Ⅳ. 평생교육학에서의 학습이론 연구
Ⅴ. 평생학습의 제도화와 고등교육 영역에서의 접변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숭희(Soonghee Han). (2023).한국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성과와 학교기반 교육학에 대한 문제제기(2000-2023). 평생교육학연구, 29 (4), 1-47

MLA

한숭희(Soonghee Han). "한국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성과와 학교기반 교육학에 대한 문제제기(2000-2023)." 평생교육학연구, 29.4(2023): 1-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