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지연전서』 소재 『진휘속고(震彙續攷)』 고찰

이용수 4

영문명
A Study on the Wiam Volume Jinhwisokgo in the Collection of Jang Ji-yeon's Works
발행기관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저자명
정은진
간행물 정보
『태동고전연구』제51집, 9~62쪽, 전체 5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9,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단국대 출판부 발간 『장지연전서』에 수록된 위암본 『진휘속고』를 고찰한 것이다. 현전하는 『진휘속고』는 위암본 외에 춘하추동 4책 가운데 하(夏) 1책만 전하는 육당본이 있고, 이와 유사한 제목의 『진벌휘고속편』도 전하고 있다. 이 외에 『이향견문록』과 『근역서화징』에서 인용한 『진휘속고』 일부가 전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위암본의 체재와 전반적 내용을 고찰한 다음, 위암본을 현전하는 4종과 비교하며 위암본의 중요 특징을 찾고자 했다. 위암본은 왜지(倭紙) 노트에 쓴 필사본으로, 위암(韋庵) 장지연(張志淵, 1864~1921)의 친필과 다른 필사자의 필체가 혼효된 형태였다. 필사자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글자의 오류, 관련 인물 정보의 생략 등이 종종 있었다. 그러나 장지연은 직접 자신이 편집했다는 사실을 기록하고, 표제 및 편목은 물론 내용 중간중간이나 끝 부분에 자신의 필체로 정리하였던 바, 그가 『진휘속고』 필사를 주도한 것으로 판단된다. 위암본에는 ‘명화가(名畵家)⋅용력가(勇力家)⋅역관(譯官)⋅승니(僧尼)⋅무격(巫覡)⋅규범(閨範)⋅기(妓)’ 총 7편목이 제시되어 있었다. 다만 마지막 편목인 기(妓) 뒷 단락이 결락되었다. 총 41편목으로 구성된 『진벌휘고속편』과 비교해 보면, 명화(名畫)⋅규영(閨英)⋅창기(娼妓)⋅선가(禪家)⋅여승(女僧)⋅거사(居士)⋅무녀(巫女)⋅역관(譯官)⋅용력(勇力) 9개 편목이 위암본 7편목으로 분산되어 수용되어 있다. 인원으로 보면 총 652명이 수록되어 있는데, 『진벌휘고속편』에 등장하는 258명보다 394명이 추가되어 있었다. 위암본을 1862년 이전에 유통되었던 『이향견문록』 인용 『진휘속고』와 비교해 본 결과, 관련 인물 내용이 다소 보강되었으며, 표현에 있어서도 변화되어 『진벌휘고속편』과 유사한 점이 많았다. 그러나 『진벌휘고속편』에 없는 내용이 위암본에 다수 등장하고, 분량에 있어서도 『진벌휘고속편』과 차이가 있었다. 위암본을 육당본과 비교해 본 결과, 이 두 본은 서로 불완전한 상태라 편목이 일치하는 것이 없었다. 다만 『진벌휘고속편』에는 없고 육당본에만 등장하는 『기록(冀錄)』이란 책이 위암본에도 등장하고, 관련 유사 편목을 참조하라는 표현이 동일했으며, 육당본 「시가(詩家)」 편목의 김덕형 기사가 위암본 「명화가」 편에 이동되어 수용되어 있기도 하였다. 김덕형 기사는 『이향견문록』 인용 『진휘속고』에도 등장하는 것인데, 『진벌휘고속편』에는 언급이 전혀 없었다. 그러나 육당본은 『이향견문록』 인용 『진휘속고』처럼 서사가 긴 반면, 위암본은 이 기사를 한 줄로 간략히 정리했다. 곧 위암본은 관련 정보의 자세함과 생략 형태의 편차가 컸는데,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난 이유를 필자는 『진휘속고』를 위암이 『일사유사』나 기타 잡지를 출판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했기 때문으로 판단했다. 『진휘속고』의 내용이 『일사유사』에 편입된 사례가 있었던바, 위암은 당시 통용되던 『진휘속고』 자료를 보고 취사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위암본을 『근역서화징』 인용 『진휘속고』와도 비교분석하였다. 그간 학계에서는 오세창이 위암본을 보고 『근역서화징』을 편찬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실제 확인한 결과 위암본 소재 47명의 기사가 『근역서화징』 인용 『진휘속고』와 중복되었다. 하지만 오세창의 『근역서화징』에는 위암본이나 『진벌휘고속편』에서 자세히 다루지 못한 인물은 물론, 위암본에 없는 전충효(全忠孝), 이응복(李應福), 남계우(南啓宇)의 사적까지 『진휘속고』 인용문헌이라고 밝혔다. 곧 오세창 역시 당시 유통되던 『진휘속고』를 보고 활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위암본은 장지연이 출판물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당대 통용되던 『진휘속고』를 필사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필사의 대상은 『진벌휘고속편』보다는 내용이 보강되어 있었으며, 육당본 내지 이와 유사한 제3의 『진휘속고』로 추정된다. 위암은 오세창과 인적 네트워크를 가지고 출판을 상호 기획했던바, 『진휘속고』 자료를 공유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현재 그들이 보았던 『진휘속고』 및 그 전신이라 할 수 있는 『진휘고』 원본이 발견되지 않았기에, 필사의 대상이 육당본인지 제3의 『진휘속고』인지는 확언할 수 없다. 다만 위암 당대에 『진휘속고』 저작이 편저자들의 기호에 따라 증보 변이되어 가며, 일제강점기 지식인들의 독서물 내지 출판물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었고, 위암본 역시 그 사례의 하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Wiam version Jinhwisokgo included in Jangjiyeonjeonseo published by Dankook University Press. In addition to the Wiam version, the extant Jinhwisokgo includes the Yukdang version, which contains only one book (夏) out of the four books of the Spring, Summer, Autumn, and Fall, and the Jinbeolhwigosokpyeon with a similar title. In addition, some Jinhwisokgo quoted from Ihyanggyeonmunrok and Geunyeokseohwajing are transmitted.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structure and overall contents of Wiam version and then compared it with the four extant types to find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Wiam version. The Wiam version is a manuscript written on a Japanese paper notebook, and is a mixture of the handwriting of Wiam Jang Ji-yeon (張志淵, 1864-1921) and the handwriting of another scribe. There were often typographical errors and omission of relevant personal information due to differences in copying. However, Jang Jiyeon recorded the fact that he personally edited it, and he organized the title, table of contents, and even the middle or end part of the content in his own handwriting. It is judged that he led the transcription of Jinhwisokgo. Wiam version contains a total of 7 chapters titled ‘Famous painters, warriors, translators, monks, martial artists, rules, and Gisaeng(妓)’ were presented. However, the last section, the paragraph after Gisaeng, was missing. Compared to Jinbeolhwigosokpyeon, which consists of a total of 41 pieces, 9 pieces such as Myeonghwa (名畫) and Gyuyeong (閨英), Courtesan (娼妓), Zen master (禪家), female monk (女僧), Geosa (居士), and shaman are dispersed and accepted into 7 pieces of Wiam version.. In terms of the number of people, a total of 652 people are included, with 394 additional people compared to the 258 people appearing in the Jinbeolhwigosokpye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Wiam version with Jinhwisokgo, which cited Ihyanggyeonmunrok distributed before 1862, the content of related characters was somewhat strengthened and expressions were also changed, showing many similarities with Jinbeolhwigosokpyeon. However, a lot of content that was not in Jinbeolhwigosokpyeon appeared in Wiam version, and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the volume from Jinbeolhwigosokpye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Wiam version with the Yukdang version, the two versions were incomplete and their entries did not match. However, a book called Girok (冀錄), which appeared only in the Yukdang version but not in the Jinbeolhwajang version, also appeared in the Wiam version, and the expressions to refer to related similar sections were the same, and an article by Kim Deok-hyeong in the “Poet” section of the Yukdang version was moved to the “Famous Painters” section of the Wiam version. Article Kim Deok- hyeong also appears in Jinhwisokgo, which quotes Ihyanggyeonmunrok, but there is no mention of it at all in Jinbeolhwigosokpyeon. However, while the Yukdang version has a long narrative like Ihyanggyeonmunrok, the Wiam version summarizes the article in one line. In other words, Wiam's version had a large discrepancy in the details and omissions of related information, and I think that the reason this phenomenon occurred was because Wiam wanted to use Jinhwisokgo as basic material for publishing Ilsayusa and other magazines. I decided it was because I did it. As there was a case where the contents of Jinhwisokgo were incorporated into Ilsayusa, Wiam had no choice but to make a selection based on the Jinhwisokgo material that was in use at the time. Wiam version was also compared and analyzed with Jinhwisokgo cited in Geunyeokseohwajing. Until now, in the academic world, it was recognized that Oh Se-chang compiled Geunyeokseohwajing after reading Wiam version. As a result of actual confirmation, 47 articles in Wiam version overlapped with Jinhwisokgo citing Geunyeokseohwajing. However, in Oh Se-chang's Geunyeokseohwajing,

목차

1. 머리말
2. 위암 『진휘속고』의 체재와 전반적 내용
3. 위암 『진휘속고』의 중요 특징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은진. (2023).『장지연전서』 소재 『진휘속고(震彙續攷)』 고찰. 태동고전연구, (), 9-62

MLA

정은진. "『장지연전서』 소재 『진휘속고(震彙續攷)』 고찰." 태동고전연구, (2023): 9-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