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제강점기 조선신사(朝鮮神社)의 분포 및 입지

이용수 34

영문명
Distribution and Location of Joseon Shinto Shrin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저자명
최진성(Jin Seong Choi)
간행물 정보
『기전문화연구』제44권 제2호, 139~186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일제강점기에 세워진 조선신사의 분포 및 입지 경향성을 파악하려고 하였다. 조선신사는 사격(社格)에 따라 신사(神社)와 신명신사(神明神祠) 로 구분되는데, 『조선총독부관보』(1915-1945년)에서 신사 81개소, 신명신사865개소를 확인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조선신사의 관공립화 완비기(1915-1929년) 및 황민화정책기(1930-1945년)로 시기를 구분하여 그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이 분포도를 일제강점기에 부설된 철도망과 겹쳐서 조선신사의 분포 경향성을 파악하는 데 활용하였다. 그 결과 조선신사의 관공립화완비기에는 철도망과의 접근성이 매우 높았지만, 황민화정책기에는 신명신사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철도망과의 연계성이 점차 낮아졌다. 이것은 1936 년에 시행된 ‘1面1神祠主義’ 정책 때문에 철도망과 상관없이 면 단위까지 신명신사들이 집중적으로 세워졌기 때문이다. 신명신사가 많이 세워진 전라남도, 황해도, 경기도 등에서 이러한 분포 경향성이 잘 나타난다. 조선신사의 입지 경향성은 신사와 신명신사로 구분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조선지형도』에서 신사를 의미하는 기호와 이름이 표시된 37개소를 대상으로 그 입지 유형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들 가운데 사진으로 그 입지가 확인되는 6개소와 함께 『조선지형도』에서 찾은 신명신사 6개소를 선정하여 시각적인 입지를 분석하였다. 신사의 경우, 신사가 세워진 도시의 특성상 개항도시, 교통도시, 전통도시 등으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사례로 선정된 12개소의 조선신사들은 모두 구릉 또는 산록완사면의 중턱에 입지하고 있어 탁월한조망권이 확보되었다. 또한 이들은 시가지를 향하고 있어 시내 어디서나 잘보이는 랜드마크였으며, 철도역과의 접근성이 좋아서 일본인들 거주지와 비교적 가까웠다. 이러한 입지 경향성 덕분에 신사가 세워진 구릉은 공원으로지정되었으며, 나중에라도 대부분 공원이 되었다. 이러한 조선신사의 구릉지향성 입지는 일제강점기에 세워진 모든 조선신사의 입지 경향성으로 확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grasp the distribution and location trends of Joseon Shinto shrines buil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oseon Shinto shrines are divided into Shinto shrines(神社) and Shinmyeong shrines(神明神祠) according to their hierarchy. 81 Shinto shrines and 865 Shinmyung shrines were identified in the “Joseon Government-General's Gazette” (1915-1945). For them, the period of completion of the official formalization of the Joseon Shinto shrines (1915-1929) and the period of the Hwangminhwa(皇民化) policy (1930-1945) were divided into two periods, and a distribution map was drawn up. This distribution map overlapped with the railway network buil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was used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trend of the Joseon Shinto shrine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during the period when the Joseon Shinto Shrine was fully publicized, it was very accessible to the railway network. However, during the period of the Hwangminhwa Policy, the Shinmyeong Shrine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and its connection with the railway network gradually decreased. This is due to the policy of 'One Myeon(面), One Shrineism' implemented in 1936, Shinmyung Shrines were intensively built up to the myeon region regardless of the railway network. This distribution trend is well seen in Jeollanam-do, Hwanghae-do, and Gyeonggi-do, where many Shinmyung shrines have been built. The tendency of the location of Joseon Shinto shrines was examined by dividing them into Shinto shrines and Shinmyeong shrines. To this end, the types of locations were identified at 37 places where symbols and names representing Shinto shrines were displayed in the “Topographic Map of Joseon”. In addition, among them, the visual location of the Shinto shrine was analyzed by selecting 6 places where the location of the Shinto shrine was confirmed by photographs, as well as 6 places of Shinmyeong Shrine found on the “Topographic Map of Joseon”. In the case of Shinto shrin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where they were built, they were divided into open port cities, transportation cities, and traditional cities. As a result, all of the 12 Joseon Shinto shrines selected as examples are located on hills or in the middle of gentle slopes, securing excellent views. In addition, they were landmarks that could be seen from anywhere in the city, town and myeon because they faced the central place in city, and they were relatively close to Japanese settlements due to their easy access to railway stations. Because of this location, the hill on which the Shinto Shrine was built was designated as a park, and later most of it became a park. This hilly-oriented location of the Joseon Shinto Shrine can be extended to the location tendency of all Joseon Shinto Shrines buil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목차

1. 들어가며
2. 일제강점기 조선신사의 사격(社格)에 따른 도별, 시기별 분포 특성
3. 일제강점기 조선신사의 공간적 분포와 철도 교통과의 접근성
4. 일제강점기 조선신사의 입지 경향성
5. 마치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진성(Jin Seong Choi). (2023).일제강점기 조선신사(朝鮮神社)의 분포 및 입지. 기전문화연구, 44 (2), 139-186

MLA

최진성(Jin Seong Choi). "일제강점기 조선신사(朝鮮神社)의 분포 및 입지." 기전문화연구, 44.2(2023): 139-1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