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피해자중심적 정의론과 범죄피해자 개념 - 법률상 피해자 개념의 해석 -

이용수 58

영문명
Crime Victim definition based on New Victim-centered Justice Theories
발행기관
한국피해자학회
저자명
김혜경
간행물 정보
『피해자학연구』제31권 제3호, 119~15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통적인 의미의 범죄피해자는 타인의 범죄행위로 인하여 생명・신체・재산 등의 법익에 대한 손상을 입은 자를 의미하고, 국가는 범죄예방책무 불이행 또는 과실로 인한 범죄발생이 라는 측면에서는 국가손해배상적 의미로서, 범죄로부터 정상적인 생활안정의 측면에서는 사 회보장 또는 복지적 의미로서 피해자 개념에 접근함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회복적 정의(restorative justice)는 물론 이행기 정의(transitional justice) 와 배상적 정의(reparative justice) 전환적 정의(transformative justice)라는 개념을 통해서 피 해자 중심적인 범죄피해자 개념을 정립하고, 사회안정과 지속가능한 공동체의 유지를 목적으 로 개혁을 시도하는 이론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들은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침해받았던 과거 역사로부터 인간의 기본권을 회복하고 자유 롭고 정의로운 질서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으로, 피해자에 대한 권리와 정의회복과 역 사 바로세우기 및 자유롭고 정의로운 민주사회 구축을 공통의 목표로 한다. 이러한 개념들은 모두 현재 진행 중인 정의개념들로, 그 의미나 내용이 완전히 통일되거 나 합의된 것은 아니지만, 전통적인 범죄와 범죄피해자 개념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사각지대 가 있음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바람직한 해결을 모색하고자 한다는 점, 전통적인 범죄개념과 는 달리 국가형벌권 및 범죄자를 중심으로 하는 개념이 아니라 범죄피해자 중심적인 접근이 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학문적으로도 익숙하지 않은 개념임은 물론 이다. 여기에서는 그와 같은 최근에 대두된 범죄피해자중심적 정의개념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 고 우리 법제의 현황을 분석하여 인권친화적인 범죄피해자개념의 정의와 법제화 방안에 관 하여 고민하고자 한다. 우선 범죄피해자에 대한 정의론의 관점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새 로운 정의론이 대두되었는지를 살펴보고, 그 출발점이 되는 이행기 정의의 구체적인 개념과 국제적 노력을 분석한 후에 현대적 정의론과 피해자 개념을 전환적 정의개념을 중심으로 전 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우리 법제에서 피해자 개념이 어떻게 서술되고 위치지워지고 있는지 를 확인하고, 인권친화적이고 피해자중심적인 범죄피해자개념의 정립방향에 관하여 논의하고 자 한다. 또한 법적인 범죄피해자개념이 제도나 사회적 합의를 주도하여야 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 로 법적 개념에 사회적 합의가 반영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숨은 피해자의 권리회복을 위한 사회의 책무도 고민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A crime victim in the traditional sense refers to a person who has been infringed on legal interests due to the criminal acts of others, and is limited to damage caused by crimes subject to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punish the state, focusing on state power. However, theories aimed at establishing the concept of crime victims centered on victims and maintaining social stability and a sustainable community have recently been proposed through the concepts of not only restorative justice, but also transitional justice, independent justice, and transformative justice. All of these theories are continuously under discussion about the concept, and their meaning or content is not completely unified or agreed. However, unlike traditional crime concepts, it recognizes that there are blind spots that cannot be solved by traditional crime and crime victims and seeks a desirable solution to them, and unlike traditional crime concepts, it is a crime victim-centered approach rather than a national criminal rights and criminals-centered concept. Here, we will examine in detail the recently presented concepts of crime victim-centered justice. And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ws, would like to consider the definition and legislation of the concept of human rights-friendly crime victims. In addition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the concept of legal crime victims should not lead the national system and social consensus, but on the contrary, social consensus should be reflected in the law.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경. (2023).피해자중심적 정의론과 범죄피해자 개념 - 법률상 피해자 개념의 해석 -. 피해자학연구, 31 (3), 119-151

MLA

김혜경. "피해자중심적 정의론과 범죄피해자 개념 - 법률상 피해자 개념의 해석 -." 피해자학연구, 31.3(2023): 119-1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