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의 지식 공유형 교육 ODA 정책 내러티브에 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이용수 97

영문명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Education ODA Policy Narrative in South Korea’s Knowledge Sharing Program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저자명
김민정(Min Jung Kim)
간행물 정보
『미래교육학연구』제36권 제4호, 31~5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의 지식 공유형 공적개발원조 사업 중 하나인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을 통해 정책 이전의 형태로 협력국에 전달되는 교육 정책적인 지식이 어떻게 구성되며, 이를 바탕으로 어떠한 교육 정책적 담론이 형성되고 있는지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하여 2005년부터 2021년까지 이루어진 교육 분야 KSP 사업의 정책자문보고서 33권을 대상으로 비판적 담론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KSP 보고서는 특정한 어휘를 반복해서 사용하거나, 대조적인 은유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한국의 교육 정책과 시스템을 협력국의 그것보다 우위에 올려놓는 전략을 취하였다. 또한 일관된 구조와 단순한 정보 나열의 정형화된 서술이 주를 이루며, 협력국의 현실 맥락에 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보고서가 집필되는 당시의 상황적 맥락과 한국 정부의 정치적 기조가 정책 내러티브 형성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술적 기여: 본 연구는 정책 내러티브, 그리고 담론 형성과 전파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한국 교육 ODA의 정체성을 조망해보고, 한국 교육 ODA가 독창성과 전문성을 갖춘 내러티브를 만들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education ODA policy narrative has been delivered in the form of policy transfer through the Knowledge Sharing Program (KSP) from South Korea to partner countries and further explores what kind of education policy discourse is being formed in the process. To this end,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as conducted on 33 policy advisory reports of KSP projects in the education sector from 2005 to 2021. The results can be divided mainly into three dimensions. In terms of textual practice, the KSP reports deliver a tacit message that Korea's education policies and systems are superior to those of partner countries by repeatedly using specific vocabulary or reinforcing contrasting metaphors when describing the current educational state of Korea and partner countries. At the level of discursive practice, the forms of description tended to be particularly bureaucratic and stereotyped, simply lis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nsistent structure. Moreover, the content of the reports, in general, was characterized by lacking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t social contexts of the partner countries. In terms of socio-cultural practice, it was confirmed that the situational context in which the report was planned and written ─ as well as the political stance of the Korean govern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policy narrative.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s, characteristics, problems, and limitations of Korean education ODA analyzed in previous studies from a new perspective of discourse formation and dissemination through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policy narratives. On that basis, this study suggests considerations essential for Korean education ODA to create a narrative with its own originality and expertis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한국의 지식공유형 ODA: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의 구조와 특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정(Min Jung Kim). (2023).한국의 지식 공유형 교육 ODA 정책 내러티브에 관한 비판적 담론 분석. 미래교육학연구, 36 (4), 31-56

MLA

김민정(Min Jung Kim). "한국의 지식 공유형 교육 ODA 정책 내러티브에 관한 비판적 담론 분석." 미래교육학연구, 36.4(2023): 3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