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T 정도관리에서 ACR 팬텀을 이용한 딥러닝 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9
- 영문명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Model by Using ACR Phantom in CT Quality Control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최은빈(Eun-Been Choi) 김시온(Si-On Kim) 최승원(Seung-Won Choi) 김재희(Jae-Hee Kim) 김영균(Young-Kyun Kim) 한동균(Dong-Kyun Han)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제46권 제6호, 535~54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mplement a deep learning model that can perform quantitative quality control through ACTS software used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ACR phantom in CT quality control and evaluate its usefulness. By changing the scanning conditions, images of three modules of the ACR phantom's slice thickness (ST), low contrast resolution (LC), and high contrast resolution (HC) were obtained and classified as ACTS software. The deep learning model used ResNet18, implementing three models in which ST, HC, and LC were learned with epoch 50 and an integrated model in which three modules were learned with Epoch 10, 30, and 50 at once. The performance of each model was evaluated through Accuracy and Loss. When comparing and evaluating the accuracy and loss function values of the deep learning models by ST, LC, and HC modules, the Accuracy and Loss of the HC model were the best with 100% and 0.0081, and in the integrated model according to the Epoch value, Accuracy and Loss with epoch 50 were the best with 96.29% and 0.1856. This paper showed that quantitative quality control is possible through a deep learning model, and it can be used as a basis and evidence for applying deep learning to the CT quality control.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복부 초음파 영상에서 간경변증 환자군과 대조군의 담석증 유병률 연구
- 결합제 분사 방식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소아 생식기 차폐체 제작 및 유용성 평가
- CT 정도관리에서 ACR 팬텀을 이용한 딥러닝 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 척추 방사선수술 시 다엽콜리메이터 위치 오차의 임상적 위험성 평가
- 납과 텅스텐 기반 차폐체의 성능 비교 평가
- 심장동맥 조영 검사 시 검사 조건에 따른 환자 선량 평가
- 심장 전기생리학 검사 시 조건 변화에 따른 환자 피폭 선량 평가
- 방사선관리구역의 공간선량률 교육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터의 개발과 유용성 평가
- 3D 프린팅을 이용한 손 엑스선 검사 보조도구의 유용성
- 간 초음파 영상에서의 스페클 노이즈 제거를 위한 필터들의 비교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방사선학과 학생 실습환경에 관한 연구: 실습실 내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해도를 중심으로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추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55Fe와 59/63Ni의 화학분리 중 목적원소 및 방해원소 거동 특성 연구
- 진단참고 준위를 적용한 선량 변화에 따른 영상 품질의 변화 평가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