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납과 텅스텐 기반 차폐체의 성능 비교 평가
이용수 7
- 영문명
- Evaluation of the Shield Performance of Lead and Tungsten Based Radiation Shields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박정환(Jeong-Hwan Park) 이현성(Hyeon-Seong Lee) 이은서(Eun-Seo Lee) 한효정(Hyo-Jeong Han) 허윤희(Yun-Hee Heo) 최재호(Jae-Ho Choi)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제46권 제6호, 519~52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the shielding rate of radiation shields manufactured using 3D printers that have recently been used in various fields by comparing them with existing shields made of lead, and to find out their applicability through experiments. A 3D printer shield made of tungsten filament 1 mm, 2 mm, 4 mm shield, RNS-TX (nanotungsten) 1.1 mm, lead 0.2 mmPb, and 1mmPb were exposed to 99mTc, 18F, and 201TI for 15, 30, 45 minutes, and 60 minutes after measuring cumulative dose three times. Based on this, the shielding rate of each shield was calculated based on the dose in the absence of the shield. In addition, 99mTc, 18F, and 201TI were located 100 cm away from the phantom in which the OSLD nano Dot device was inserted, and if there was no shield for 60 minutes, the dose of thyroid was measured using 1.0 mm of lead shield, 1.1 mm of RNS-TX shield, and 2 mm of tungsten shield made by 3D printer. The use of shields during radiation shielding emitted from open radiation sources all resulted in a reduction in dose. The radiation dose emitted from the radionuclides under the experiment was all reduced when the shield was used. This study has been confirmed that tungsten is a material that can replace lead due to its excellent performance and efficiency as shield, and that it even shows the possibility of manufacturing a customized shield using 3D printer.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복부 초음파 영상에서 간경변증 환자군과 대조군의 담석증 유병률 연구
- 결합제 분사 방식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소아 생식기 차폐체 제작 및 유용성 평가
- CT 정도관리에서 ACR 팬텀을 이용한 딥러닝 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 척추 방사선수술 시 다엽콜리메이터 위치 오차의 임상적 위험성 평가
- 납과 텅스텐 기반 차폐체의 성능 비교 평가
- 심장동맥 조영 검사 시 검사 조건에 따른 환자 선량 평가
- 심장 전기생리학 검사 시 조건 변화에 따른 환자 피폭 선량 평가
- 방사선관리구역의 공간선량률 교육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터의 개발과 유용성 평가
- 3D 프린팅을 이용한 손 엑스선 검사 보조도구의 유용성
- 간 초음파 영상에서의 스페클 노이즈 제거를 위한 필터들의 비교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방사선학과 학생 실습환경에 관한 연구: 실습실 내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해도를 중심으로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추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55Fe와 59/63Ni의 화학분리 중 목적원소 및 방해원소 거동 특성 연구
- 진단참고 준위를 적용한 선량 변화에 따른 영상 품질의 변화 평가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