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3D 프린팅을 이용한 손 엑스선 검사 보조도구의 유용성
이용수 18
- 영문명
- Usefulness of an Auxiliary Tool for Hand Radiography by Using 3D Printing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김지원(Ji-Won Kim) 구본열(Bon-Yeoul Koo)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제46권 제6호, 485~49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s an auxiliary tool for fixing the patient's posture when taking an X-ray, sponges with high radiolucencies are laminated in various thickness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an auxiliary tool for hand oblique projection X-ray by manufacturing it with a uniform thickness by 3D printing and comparing it with existing sponge tools. In the auxiliary tool, radiolucency was measured at the stairs where each finger was located, and pixel information values were compared in the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DICOM) image. Contrast to noise ratio(CNR) and signal to noise ratio(SNR) were compared by shooting the hand phantom and the auxiliary tool together. As the thickness of the sponge tool increased, radiolucency decreased by 15.52% and pixel information value increased by 20.61%. The transmittance of the 3D printing tool increased by 0.82%, and the pixel information value differed by 5.66%. CNR and SNR increased by 20.03% and 22.42% in 3D printing compared to existing sponge tools. while taking hand oblique projection, maintaining the thickness of the auxiliary tool uniformly through 3D printing maintains high radiolucency and minimal impact on medical images, and increases CNR and SNR, making it useful as an auxiliary tool for taking hand oblique proje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실험 재료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복부 초음파 영상에서 간경변증 환자군과 대조군의 담석증 유병률 연구
- 결합제 분사 방식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소아 생식기 차폐체 제작 및 유용성 평가
- CT 정도관리에서 ACR 팬텀을 이용한 딥러닝 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 척추 방사선수술 시 다엽콜리메이터 위치 오차의 임상적 위험성 평가
- 납과 텅스텐 기반 차폐체의 성능 비교 평가
- 심장동맥 조영 검사 시 검사 조건에 따른 환자 선량 평가
- 심장 전기생리학 검사 시 조건 변화에 따른 환자 피폭 선량 평가
- 방사선관리구역의 공간선량률 교육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터의 개발과 유용성 평가
- 3D 프린팅을 이용한 손 엑스선 검사 보조도구의 유용성
- 간 초음파 영상에서의 스페클 노이즈 제거를 위한 필터들의 비교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방사선학과 학생 실습환경에 관한 연구: 실습실 내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해도를 중심으로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추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55Fe와 59/63Ni의 화학분리 중 목적원소 및 방해원소 거동 특성 연구
- 진단참고 준위를 적용한 선량 변화에 따른 영상 품질의 변화 평가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