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의 수용적 지식(읽기) 어휘량 연구
이용수 68
- 영문명
- A study on receptive vocabulary size(reading) of Korean Chinese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진현(Hyeon Jin)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30 No.4, 93~11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eptive vocabulary siz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Chinese. The study was conducted at the end of the 2022 fall semester and focused on the receptive aspect of vocabulary knowledge, specifically on ‘reading.’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1st year, 2nd year, and 3rd-4th year students, and a vocabulary assessment was carried out. The assessment vocabulary consisted of 80 items extracted from the HSK (2015) test. As a result, the accuracy rates were 60.07% for the 1st year, 76.98% for the 2nd year, and 80.77% for the 3rd-4th year. After conducting one-way ANOVA and post hoc tes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between the 1st year group and both the 2nd year and 3rd-4th year group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nd year and 3rd-4th year groups. When comparing the accuracy rates to the cumulative vocabulary of 5,000 words in the HSK level 6, it showed that the 1st year group knew approximately 3,103.50 words, the 2nd year group knew 3,849.00 words, and the 3rd-4th year group knew 4,038.5 words.
영문 초록
提取的80个项目组成。调查结果,一年级的正确率为60.07%,二年级的准确率为76.98%,第三年至第四年的准确率为80.77%。通过F检验判断年级之间的平均差异是否具有统计学意义,结果发现不同年级的受试者对汉语词汇的接受知识存在显着差异。然而根据事后检验后显示,2年级组和3-4年级组之间没有统计学上的显着差异。将准确率与HSK6级5,000个单词的累计词汇量进行比较,结果显示一年级组认识约3,103.5个单词,二年级组认识3,849个单词,三四年级组认识4,038.5个单词。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분석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발표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4~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베트남어 과목 철자 문항의 유형과 난이도 연구
- 외국어로서의 한일 자국어 교육정책 비교 연구
-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의 수용적 지식(읽기) 어휘량 연구
- 초중고 교사의 제2외국어에 대한 인식 및 제2외국어 과목 편성·운영 실태 연구
- 한국어와 중국어 모국어 화자의 세계영어 발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 비교 연구
- A Study of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n English Writing Anxiety
- Impacts of Self-Assessment o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Satisfaction at a University Foreign Language Pedagogy Course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