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교수-학습을 위한 상호작용 연구 동향 분석과 과제

이용수 97

영문명
Analyzing Trends in Interaction Research for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저자명
장향실
간행물 정보
『순천향 인문과학논총』42권 4호, 169~20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어교육 분야에서의 상호작용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 과제에 대해 제안하였다. 분석 대상 논문은 2023년 10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및 등재후보학술지에 게재된 논문과 대학의 석·박사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호작용의 양상이나 방법은 교수-학습 공간이 오프라인이냐 온라인이냐에 따라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먼저 분석 대상 논문을 두 기준에 따라 분류한 후, 이를 다시 연구 주제나 방법 면에서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오프라인과 온라인 교수-학습 환경 변화의 주요 전환점은 2010년 무렵이다. 2010년대 초까지는 거의 대부분의 수업이 대면으로 이루어졌다. 이 때문에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도 교실 수업을 대상으로 한 것이 중심을 이루었다. 2010년대에 초고속 인터넷이 상용화되면서 온라인 교육의 환경이 크게 개선되고 교육 매체도 다양화되었다. 한국어교육 분야에서도 온라인 교육 매체와 콘텐츠를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일어났다. 온라인교육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2010년대 중반부터 진행되었다. 다만 이 시기의 온라인 수업의 형태는 저장형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것이 대부분이었고, 아직 원격 수업에 대한 관심은 본격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다 2020년 COVID 19로 인해 거의 대부분의 수업이 비대면 온라인 형태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온라인 교육 매체가 학습관리시스템(LMS), 유튜브, 모바일 앱, 온라인 화상 강의 플랫폼, 메타버스, SNS 등으로 다양화되었다. 결과적으로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이 중요문제로 대두되면서 연구가 활성화되었다. 오프라인 교수-학습 환경의 상호작용 연구는 교수-학습자 간, 학습자-학습자 간상호작용 양상을 관찰·분석하는 연구가 많았다. 그러나 대부분 상호작용 양상 분석에 머물러 있다. 그러므로 향후 수업 적용이나 교사 훈련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온라인 기반의 교수-학습 환경의 상호작용 연구의 경우, 온라인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지만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 내용 간의 상호작용 부족 문제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한편 언어교육에 있어 새로운 측면의 상호작용에 주목할 필요도 있다.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의 등장은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이라는 지표에 기반한 대량 교육체계의 패러다임에 혁신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이를 기반으로 한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도 앞으로의 중요한 연구 과제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interaction research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ed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tasks. The papers analyzed for research trends were theses published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s nomination lists by October 2023. Since the aspects and methods of interaction are quite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teaching-learning space is offline or online, I first categorized papers according to these two criteria, and then subdivided them into sub-areas in terms of research topics and methods. Research on interac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egan to appear in the 2000s. The major turning points in the transformation of offline and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were around 2010. Until the early 2010s, almost all classes were held face-to-face, so research on interaction was centered on classroom instruction. The commercialization of high-speed internet in the 2010s greatly improved the environment for online education and diversified educational media.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tempts have also been made to utilize online educational media and contents. Serious research on interaction in online educational environments has also been conducted since the mid-2010s. However, at this time, online classes were mostly based on stored contents. Then, in 2020,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lmost all classes were shifted to a non-face-to-face online format. As a result, online education mediums have diversified to include learning management systems (LMS), YouTube, mobile apps, online video lecture platforms, metaverses, and social media. As a result, interaction in online educational environment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spurring research. Interaction research in offlin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has been focused on observing and analyzing the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nd between learners and teachers. However, most of the research is limited to analyzing the interaction patter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specific ways to apply them to future classes and teacher training. Next, in the case of interaction research in online-based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online learning is becoming more popular. However, the lack of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 learner and learner, and learner and learning contents is still a problem that needs to be solved. And a new aspect of interaction in language education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is is the interaction with ChatGPT. The emergence of generative AI such as ChatGPT is revolutionizing the paradigm of mass education systems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and achievement levels. Therefore, research on interaction based on this is also an important future research task.

목차

Ⅰ. 머리말
Ⅱ. 상호작용의 유형 분류
Ⅲ.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상호작용 연구 동향
Ⅳ. 시사점 및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향실. (2023).한국어 교수-학습을 위한 상호작용 연구 동향 분석과 과제.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2 (4), 169-202

MLA

장향실. "한국어 교수-학습을 위한 상호작용 연구 동향 분석과 과제."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2.4(2023): 169-2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