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지행동 예술치료가 알코올중독환자의 단주자기효능감과 변화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4

영문명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 Art Therapy on Sobriety Self-efficacy and Motivation for Change in Patients with Alcoholism
발행기관
한국통합치료학회
저자명
장재영 최명선
간행물 정보
『통합치료연구』제15권 제1호, 35~5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25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지행동 예술치료가 알코올중독환자의 단주자기효능감과 변화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 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OO시 소재 A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6개월 이상 단주를 이 어가고 있는 남성 알코올중독환자 16명으로 연구대상자 중 8명은 실험집단, 8명은 통제집단으로 진행 되었다. 연구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단주자기효능감 척도, 변화동기 척도(URICA)를 사전에 실시하였 다. Mann-whitney U 검정으로 동질한 집단임을 확인하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21일부터 19년 1월 23일까지 주1회 80분씩 총 10회기에 걸쳐 인지행동 예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사후 검사 후 Wilcoxon의 부호 순위 검정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 예술치료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단주자기효능감의 변화가 있었 다. 둘째, 인지행동 예술치료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변화동기의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인지행동 예술치료가 알코올중독환자의 단주자기효능감과 변화동기의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한 것으로 알코올중독환자의 단주유지와 변화동기 향상에 효율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인지행동치료와 함께 두 가지 이상의 예술매체를 통합적으로 사용한 새로운 측면의 접근을 시도했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motivation to change in alcoholic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6 male alcoholics who had been sober for more than 6 months at A Addiction Management Integrated Support Center located in OO City. Eight of the selected research subjects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eight were in the control group.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the Sobriety Self-Efficacy Scale and the Motivation to Change Scale (URICA) were conducted in advance. After confirming that the group was homogeneous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was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for a total of 10 sessions for 80 minutes once a week from November 21, 2018 to January 23, 2019. After the post-test,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using Wilcoxon's signed rank test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had significant changes in sobriety self-efficac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had a significant change in motivation to chang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on alcohol addiction patients' self-efficacy and motivation to chang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motivation to change of alcoholics and presented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improving the self-efficacy and motivation to change of alcoholics. Additionally, it can be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a new approach that integrat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two or more art media.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재영,최명선. (2023).인지행동 예술치료가 알코올중독환자의 단주자기효능감과 변화동기에 미치는 영향. 통합치료연구, 15 (1), 35-53

MLA

장재영,최명선. "인지행동 예술치료가 알코올중독환자의 단주자기효능감과 변화동기에 미치는 영향." 통합치료연구, 15.1(2023): 35-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