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上’의 문법적 기능에 대한 한중일 대조 연구

이용수 2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the grammatical function of “上(sang)”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발행기관
이중언어학회
저자명
오성애
간행물 정보
『이중언어학』제62호, 49~7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mainly aims at investigating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consistent form characters “上(sang)” in Korean, in Chinese and in Japanese comparatively. The same form characters ”上(sang)”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hav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n the levels of meaning and fun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inguistics, to study the same form of characters in different languages is not only helpful to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s in the three languages, but also has significance to probing the universal principles and individual differences of languages. From the comparison in world-formation and the syntax of “上(sang)” in above three languages ,this paper explored the grammatical functions of “上(sang)” when it is a simple world , a part of compounds and a part of sentences. By analyzing, it is not difficult to find out that “上(sang)” , in Korean, can be served as roots, prefixes and also suffixes as well, while it is only served as roots and suffixes in Chinese and Japanese. The characters “上(sang)” in Korean, not only has the function of word-building , but also can be post placed in sentences. What’s more, by comparison of the characters”上sang)” between Japanese and Chinese , makes it much easier to better understand the grammatical features of the characters “上(sang)” in Korean.

목차

1. 서론
2. 한중일 ‘上’의 형태론적 기능 
3. ‘上’의 통사론적 기능
4.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성애. (2016).‘上’의 문법적 기능에 대한 한중일 대조 연구. 이중언어학, (), 49-72

MLA

오성애. "‘上’의 문법적 기능에 대한 한중일 대조 연구." 이중언어학, (2016): 49-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