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다문화가정 아동 진단·평가 실태 및 지원 요구

이용수 15

영문명
The Current Status of Diagnosis and Evaluation and Demand for Support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정주희 정평강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7권 제1호, 105~12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진단·평가를 진행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단·평가 실태와 담당자가 겪는 어려움과 그에 따른 지원 요구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수도권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진단‧평가과정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담당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총 39명으로부터 응답을 수집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구체적인 진단·평가 지침과 기준이 부재한 상황에서 담당자의 개별적인 노력으로 진단·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다양한 의뢰 전 정보 수집, 적극적인 부모 참여를 위한 지원, 진단·평가 실시를 위한 우세 언어 판별, 다문화를 고려한 다면적 진단·평가 실시 및 다학문적 팀 구성, 진단·평가 담당자의 전문성 함양의 모든 영역에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담당자들은 다문화가정과의 언어적 어려움을 가장 많이 겪었으며 의뢰 전 중재를 적용하지 않고 특수교육에 의뢰하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팀 구성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다문화 전문가를 포함한 다학문적 팀 구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에 따라 셋째, 다문화가정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지원과 법적 근거 및 구체적인 진단‧평가 지침 마련, 체계적 의뢰 전 중재 시스템 구축,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지식이 결합된 다문화 관련 교육 제공, 다문화 유관기관과의 협력 시스템 구축의 지원 요구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특수교육 진단‧평가 과정의 향상을 위한 방향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diagnosis, evaluation process, and demands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SESC) for personnel who have experience in diagnosing and evaluat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this end,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nd distributed online to the personnel at the SESC; a total of 39 answers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iagnostic evaluation process has been conducted as an individual effort of the personnel without specific guidelines and standards to identify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resources and supports were insufficient across all aspects; this included collecting various pre-referral information, supporting active parent participation, determining dominant languages, composing a multidisciplinary team, and building the personnel’s expertise in the diagnostic evaluation process. Second, the personnel had difficulties dealing with communication with multicultural families; furthermore, they pointed out a problem to refer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SESC without any efforts to implement pre-referral intervention.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to compose a multidisciplinary team including multicultural experts due to a lack of recogni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the team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the personnel requested support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multicultural families; additionally, they wanted legal basis, specific guidelines, and systematic pre-referral intervention systems. The personnel requeste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about children with disabilit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cluding programs that combine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as well as a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SESC and multicultural-related institutions to support reliable diagnosis and evalu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주희,정평강. (2022).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다문화가정 아동 진단·평가 실태 및 지원 요구. 특수교육학연구, 57 (1), 105-129

MLA

정주희,정평강.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다문화가정 아동 진단·평가 실태 및 지원 요구." 특수교육학연구, 57.1(2022): 105-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