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대상자 순회교육 발전 방안에 대한 소고

이용수 18

영문명
A Perspective on the Development of Itineran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Revisiting the Concept of Itinerant Education and Analyzing 2021 Special Education Statistic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김지연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7권 제1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의 순회교육과 관련된 제도적·행정적 변화가 급격한 시기에 순회교육의 개념을 재점검하고, 국내 순회교육의 현황을 확인하고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순회교육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관련 연구와 국내·외 관련법 및 교육부의 정책 및 통계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최소제한환경에 기초한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배치와 배치에 따른 교육지원의 관점으로 순회교육을 해석하였고, 한국의 연속적 대안적 배치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특수교육대상자 순회교육 지원을 개념화하였으며, 순회교육을 ‘특수교사 미배치교 순회교육’ 지원 과 ‘재택 순회교육’ 지원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교육부의 「2021 특수교육통계」 순회교육 데이터 분석 결과, 특수교육대상자의 5.88%가 순회교육을 받고 있었고, 순회교육을 ‘학생의 교육배치 환경’ 과 ‘순회교육 제공 기관’ 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17개 시·도교육청별 순회교육대상자 교육배치 환경과 순회교육 제공 기관의 특성별로 순회교육 현황을 분석하였고, 이를 사분면에 제시하여 각 시·도별 특성을 확인하였다(1사분면-강원,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충남, 제주, 인천, 대구; 2사분면-부산, 울산, 세종, 충북; 3사분면-서울, 대전, 광주, 대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① 순회교육의 개념 및 용어 재정비, ② 학교급의 특수성을 반영한 순회교육 제도 마련, ③ 시·도의 특수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순회교육 제도 운영, ④ 순회교육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지원센터와 소속 교사의 역할 정립 측면에서 국내 순회교육 발전 방안을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s purpose is to revisit the concept of itinerant education at a time of rapid legal and administrative changes regarding itinerant education; furthermore, it will explor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itinerant education within Korea and suggest developmental plans for i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related research and laws, and from the 2021 special education statistic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inerant education was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placement and support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The continuous alternative placement model of Korea was suggested. Based on this model, Korean itinerant education was conceptualized; in addition, the concept was divided into ‘itinerant education for schools not assigned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home-based itinerant education.’ Second, 5.88%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were receiving itinerant education services according to the 2021 Special Education Stat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tudents were confirmed by dividing them into ‘educational placement’ and ‘itinerant education provider.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17 metropolitan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the itinerant education in Korea was discussed in terms of 'revisiting both the concept and terminology of itinerant education,' 'preparation of the itinerant education system that reflects school-level specificity,’ 'operating a differentiated itinerant education system that reflects the specialties of metropolitan/provincial educational offices,' and 'establishing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their teachers.’ Finall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ese discuss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순회교육 개념 재점검: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배치와 순회교육
Ⅲ. 2021 특수교육대상자 순회교육 통계 분석
Ⅳ. 논의: 특수교육대상자 순회교육 발전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연. (2022).특수교육대상자 순회교육 발전 방안에 대한 소고. 특수교육학연구, 57 (1), 1-22

MLA

김지연. "특수교육대상자 순회교육 발전 방안에 대한 소고." 특수교육학연구, 57.1(2022):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