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한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이용수 6

영문명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alysis using Bloom’s New Education Objectives Classification System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강은영 권민효 유현욱 방윤수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7권 제1호, 23~4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교과별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 설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고, 더 나아가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활용한 교육과정 설계와 실행에 대한 조망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총 1,130개를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지식 유형의 분석 결과 사실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에 편중되어 분포되어 있다. 인지과정 유형 분석 결과는 ‘기억하다’, ‘이해하다’, ‘적용하다’의 분포가 높았다. 둘째, 교과별 성취기준 지식 유형 및 인지과정 유형 분석 결과는 사실적 지식 유형이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절차적 지식 유형 순으로 분포되어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개념적 지식, 메타인지 지식의 분포는 낮게 분석되었다. 인지과정 유형의 분석은 ‘기억하다’, ‘적용하다’의 인지과정 유형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해하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의 인지과정 유형은 낮게 분포되어 있다. 교과별 지식 유형과 인지과정 유형 이차원 메트릭스 분석 결과는 사실적 지식에서 ‘기억하다’, ‘이해하다’ 범주의 진술, 절차적 지식에서는 ‘적용하다’의 인지과정, 메타인지 지식에서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 범주의 진술을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년군별 성취기준 지식 유형 및 인지과정 유형 분석 결과는 모든 학년군별 성취기준은 사실적 지식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며 절차적 지식, 개념적 지식, 메타인지 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학년군별 인지과정 유형 분석 결과는 ‘기억하다’는 모든 학년군에서 높은 비율로 분포되어 있지만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의 인지과정은 낮게 분포되어 있다. 학년군별 지식 유형과 인지과정 유형 이차원 메트릭스 분석 결과는 사실적 지식의 진술이 ‘기억하다’, ‘이해하다’ 범주의 진술이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개념적 진술은 ‘이해하다’ 범주의 진술, 절차적 지식은 ‘적용하다’ 범주의 진술, 메타인지 지식에서는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의 범주의 진술이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 개발 방향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setting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by analyzing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mong others, to provide a view of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using the basic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o this end, a total of 1,130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were analyzed with the use of Bloom's new education objectives classification system.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of the analysis of knowledge types, it is distributed with a focus on both fac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 the distribution of 'remember,' 'understand,' and 'apply' is high; on the other hand, the cognitive process of 'analysis,' 'evaluate,' and 'creative' is low. Seco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achievement-based knowledge types and cognitive process types by subject showed high factual knowledge types, followed by procedural knowledge types; furthermore, the distribution of both conceptual and metacognitive knowledge was relatively low. In the analysis of the cognitive process type, the cognitive process type of 'remember' and 'apply' was high; meanwhile, the cognitive process type of 'understand,' 'analysis,' 'evaluate,' and 'creative' were distributed low. An analysis regarding the relevance of knowledge types and cognitive process types by subject was found to present statements in the categories 'remember' and 'understand' in factual knowledge; the cognitive process of 'apply' in procedural knowledge; and statements in the categories 'analyze,' 'evaluate,' and 'creative' in metacognitive knowledge. Thir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achievement-based knowledge type and cognitive process type by grade group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factual knowledge in all grade groups, followed by procedural knowledge, conceptual knowledge, and metacognitive knowledg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 by grade group are distributed at a high rate in all grade groups that 'remember.' However, the cognitive processes of ‘analyze,’ ‘evaluate,’ and ‘create’ are distributed low.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knowledge and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 by grade group, many statements in the 'remember' and 'understand' categories are distributed; in addition, conceptual statements are statements in the 'understand' category. Statement of the 'apply' category of procedural knowledge. In metacognitive knowledge, statements in the categories of 'analyze,' 'evaluate,' and 'creative' were found to be distributed.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 point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은영,권민효,유현욱,방윤수. (2022).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한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57 (1), 23-49

MLA

강은영,권민효,유현욱,방윤수.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한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57.1(2022): 23-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