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러시아어 가공 동사 그룹의 의미 분석과 유형화
이용수 8
- 영문명
- Semantic Analysis and Typology of Russian Material Processing Verb Group
- 발행기관
- 한국슬라브어학회
- 저자명
- 박수빈
- 간행물 정보
- 『슬라브어 연구』제28권 제2호, 83~10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Russian, the class of verbs that express physical impact on objects stands out as the one exhibiting actionality meanings most distinctly. While there are differences in classification among scholars, based 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se verb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creation and destruction. Furthermore, they can be further categorized into sub-groups, including contact, position change, removal (cleaning), processing, creation, damage, destruction, and separation.
The verbs that indicate the material processing of the object dealt with in this paper primarily emphasize actions aimed at functionalizing the object in the future. Whenever a material processing action is applied to an object, its state is invariably altered in the direction desired by the Agent. However, when considering verb groups associated with creation or destruction, they are assumed to represent the final stages of an object's transformation. This sets apart the actions signified by material processing verbs, as they are specifically oriented towards productive or constructive outcomes, as desired by the speaker or Agent. The act of destroying an object causes a qualitative change in the object, ultimately resulting in the creation of a new one. Hence, the material processing verb group plays a pivotal role as a semantic bridge, connecting the two extremes of destruction and creation, exhibiting multifaceted characteristics that are seldom found in other lexical semantic groups. Consequently, it becomes crucial to closely examine this group among the various classes of physical action verbs.
목차
1. 서론
2. 가공 동사에 관한 기존의 연구
3. 가공 동사 그룹의 유형화
4. 가공 동사 그룹과 다른 어휘 의미 그룹과의 교차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슬라브어 연구 제28권 제2호 목차
- Modal characteristics of verba sentiendi et cogitandi in Czech
- 러시아어 심리적 상태 동사의 의미파생 메커니즘 연구
- 러시아 문예이론과 웹툰 언어
- 제한된 연어(restricted collocation)의 의미적 불투명성 양상
- 불가리아어 학습자 기반 인공지능 한국어-다국어 학습사전 구축 방법론 연구
- Концепт «Грех» в русской языковой ментальности - фреймовый подход
- 러시아연방 주체 타타르스탄의 민족-언어 문제 연구
- 러시아어 가공 동사 그룹의 의미 분석과 유형화
- 슬라브주의와 서구주의의 논쟁
- Игровая методика на уроках РКИ в корейской аудитории
- 러시아어『(что)бы + Vpast』구조의 양상(modality) 표현 연구
- 명사화(substantivization)의 분포적 특성에 관하여
- Графодеривация как способ образования окказиональных инноваций в газетном и рекламном дискурсах
- 러시아어 단어내적반의어(enantiosemy)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Cultural Integration and Innovation in Music Composition - Taking the First Movement of Bao Yuankai's Symphony No. 6 <Yanzhao> as An Example
- Really, Is it just “Backwards”?—Reevaluating Adorno's Multifaceted Analysis of Stravinsky
- Artistic Innovation:The Construction of Virtual Spaces in 2D Fantasy Fil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