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초자치단체 사회복지 예산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용수 69
- 영문명
-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welfare budget size of the local government: Focusing on the spatial panel regression model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박성준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23권 제1호, 109~12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 예산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은 인근 지자체 간의 유사성과 인근 지역 내 특성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공간적 상관을 고려한 모형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5년간 누적된 기초자치단체의 각종 지표들을 활용하여 사회복지 예산규모와 관련된 요인들이 가지는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단위는 226개 기초자치단체이며, 인구 1인당 사회복지 예산 중 시군구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이와 관련된 영향요인들은 크게 인구 특성, 재정 특성, 지역 특성으로 구분하였다. 이상의 자료들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누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종단 데이터의 특성과 인근 지역 간 자기상관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하여 공간패널모형(Spatial Panel Data Models)을 활용하였으며, 이때 공간시차모형(Spatial Lag Model), 공간오차모형(Spatial Error Model), 공간더빈모형(Spatial Durbin Model)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 예산 규모는 지역 간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들은 직·간접적으로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자체의 인구특성(노인인구비율), 재정특성(사회복지비중)은 기초자치단체 사회복지 예산 규모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민기초생활수급률은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자체 공무원수는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기초자치단체가 가지는 사회보장정책의 특성은 단순히 해당 지역의 특성만을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없으며, 향후 지역사회 중심의 정책 수립과 관련 재원의 배분 시에 지역 간의 유사성과 파급효과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ocial welfare budget size of the local government by using a spatial panel regression analysis model. From 2015 to 2019, social welfare budgets and related indicator data of 226 local governments were used. And the result of spatial lag model, spatial error model, and spatial dubin model were compa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ize of the local government's social welfare budget was correlated with the region located nearby. Second, it was found that local governments'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fiscal characteristics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ize of the social welfare budget. Third, the ratio of recipients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indirectly affected the social welfare budget of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effect of the distribution of local government welfare resources in neighboring areas and the ripple effect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직후원이 조직몰입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복지 협력적 거버넌스 형성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지표개선을 위한 평가자와 피평가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리더십 스타일이 구성원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 보조금 배분과 행정, 정치
- 공공갈등 해결방식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 회고적 정부성과와 전망적 정부성과가 정부신뢰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분석
- 기초자치단체 사회복지 예산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지역대학 기초연구 지형도 구현을 통한 스마트특성화 도입 모색
- 한국 문화도시의 진화 과정에 관한 연구
- 미래유산의 서비스 품질(HISTOQUAL)이 충성도와 보존가치에 미치는 영향
- 조직적 침묵의 측정도구 개발
- 한국정책연구 제23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