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대학 기초연구 지형도 구현을 통한 스마트특성화 도입 모색
이용수 13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Smart Specializa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Basic Research Topographic Map of Local Universities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이지은 박상욱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23권 제1호, 73~10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역균형발전과 지역 과학기술혁신은 역대 정부에서 국정과제로 제시되었으며, 지역 전략산업과 연계한 지역혁신시스템(RIS) 구축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지역혁신시스템의 중핵을 담당해야 할 지역 대학의 위기가 심화되고 있다. 심지어 기초과학 학문의 위기로 대학이 기초과학 연구의 최적 기관이라는 입지마저 흔들리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 분야에서 대학 소속 연구자들의 정부 기초연구 지원사업 수행 결과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여, 지역별 비교우위와 특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들을 설정, 분석함으로써 입지계수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이 수행하는 기초연구의 지형도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지형도를 이용해 지역별로 차별화된 기초과학 연구분야 및 비교우위를 나타내고 있는 대학들을 식별할 수 있었으며, 지역 산업과 같은 지역적 맥락과의 연계를 확인하였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최근 유럽에서 부상하는 스마트특성화와 연계하여 지역별 전문화의 가능성을 모색한 것을 들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지역에 대한 연구비 배분의 참고 자료로 활용되거나, 지역균형발전 및 과학기술 기반 지역혁신 차원에서 지역대학 발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were presented as national tasks by previous governm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a regional innovation system(RIS) in connection with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was promoted. However, the crisis of local universities, which are responsible for the core of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is intensifying. Even the crisis in basic science is shaking the position that universities are the best institution for basic science research. In this study, the location quotient(LQ) was derived by setting and analyzing indicators that can measure the comparative advantage and degree of specialization by region by analyzing the results of government basic research support projects by university researcher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Using the derived topographic map, universities that showed differentiated basic science research fields and comparative advantages by region could be identified, and links with regional contexts such as local industries were confirmed. Policy implications include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regional specialization in connection with smart specialization, which has recently emerged in Europ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the distribution of research funds to regions in the future, or to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regional universities in terms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regional innovation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목차
Ⅰ. 서론
Ⅱ. 논의의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직후원이 조직몰입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복지 협력적 거버넌스 형성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지표개선을 위한 평가자와 피평가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리더십 스타일이 구성원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 보조금 배분과 행정, 정치
- 공공갈등 해결방식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 회고적 정부성과와 전망적 정부성과가 정부신뢰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분석
- 기초자치단체 사회복지 예산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지역대학 기초연구 지형도 구현을 통한 스마트특성화 도입 모색
- 한국 문화도시의 진화 과정에 관한 연구
- 미래유산의 서비스 품질(HISTOQUAL)이 충성도와 보존가치에 미치는 영향
- 조직적 침묵의 측정도구 개발
- 한국정책연구 제23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