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3학년 수학학습부진아가 함수 분야에서 겪는 어려움에 관한 사례연구
이용수 21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Difficulties in the Area of Function Suffered by the 3rd Grade Middle School Mathematics Underachievers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진선미 송영무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10권 제2호, 187~20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 수학학습부진아가 함수 분야에서 나타나는 어려움과 이에 대한 지도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좀 더 심층적인 학습 부진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 인터뷰, 녹음과 관찰 등을 통한 사례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수학학습부진아는 일반 학생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과 유사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다음으로 수학학습부진아는 일반 학생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과 차이를 보이는 어려움으로 문제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 선수 학습 결손으로 인한 어려움, 형식화하여 답을 찾으려고 하는 어려움, 대수 기호의 구분을 정확히 하지 못함으로써 겪는 어려움 그리고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를 구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what is the difficulties that mathematics underachievers are suffering from the area of mathematical function and how to overcome this difficulties. For this study, we have selected two mathematics underachievers and carried out the inspection. The mathematics underachievers have undergone the difficulties of understanding mathematical problems, the difficulties from the deficit of prerequisite and basic learning, the difficulties of finding the answer typically and the difficulties of classifying an algebraic symbol, the difficulties of calculating the gradient of the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wo points.
목차
Ⅰ. 서론
Ⅱ. 수학학습 부진아의 부진요인과 함수의 오류유형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