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데크놀로지 활용수업에서 경험적 인식과 수학적 사고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f Mathematical Thinking and Experimental Recognition in using of Technology - Focused on Unit of Geometry at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
발행기관
한국학교수학회
저자명
정인철 김택수 황운구
간행물 정보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10권 제2호, 207~21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수학에서 중요한 부분인 증명을 학생들은 어려워한다. 증명을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대수적 시각화 자료와 특수화된 시각화 자료를 만들어 지도하였다. 그러나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대수적 시각화 자료의 표현상 오류에 의하여, 학생들이 경험적 인식을 가지지 못하여 경험적 정당화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특수화된 시각화 자료는 고정된 경우에만 성립하기 때문에 수학적 사고의 확장을 제한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자체 제작한 중학교 3학년 기하단원의 기하적 시각화 자료와 일반화된 시각화 자료를 통해 학생들에게 경험적 인식을 심어주어 경험적 정당화를 시켰으며, 수학적 사고의 향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Students have a hard time with a formal proof, which is one of most important part in mathematics education. They were taught the proof with algebraic visual materials using technology and specialized visual materials. But, they experienced the difficulty in justifying due to the lack of experimental recognition with the representation using technology. The specialized visual materials limited the extension of mathematics thinking of students because it worked only for the case that is fixed. In order to solve this type of problem, we made algebraic visual materials for 9th graders using technology and generalized visual materials so that students experience for themselves to help them to experience experimental justification, thus we recognized that they were improved in enhancing mathematical think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중학교 3학년 기하 단원의 시각적 자료 분석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의 실행
Ⅴ. 연구 결과 및 분석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인철,김택수,황운구. (2007).데크놀로지 활용수업에서 경험적 인식과 수학적 사고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 (2), 207-219

MLA

정인철,김택수,황운구. "데크놀로지 활용수업에서 경험적 인식과 수학적 사고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2(2007): 207-2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