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업계고 미용 교사의 실험·실습실 유해성분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시행의 필요성
이용수 35
- 영문명
- Awareness of Beauty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s on Toxic Substances in Experimental Laboratories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Such Substance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허윤성 김경은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4권 제3호, 203~22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2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wareness of beauty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s using cosmetic products containing toxic chemicals in classes and experimental laboratories and accordingly, propose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such substanc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60 teachers of beauty subjects in vocational high schools. Data acquired from the online survey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5.0 program.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41.7% of beauty teachers provided classes for 17-18 hours a week and practice classes for over 13 hours a week.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e toxicity of the physical hazardous environment (noise, temperature, vibration) and the chemical hazardous environment (dust, organic solvent, odor, mist) factors in experimental laboratories. 98.3% of teachers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the toxic substances used in experimental laboratories. The most urgent education on toxic substances, which teachers selected, was about the ‘impacts of exposure to chemicals (side effects)’.
In conclusion, special training on the hazardous environment and toxic substances in experimental laboratories per subject is required by many beauty teachers through practices for safe and health beauty classes. Moreover, further study needs to focus on education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내용 및 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봄꽃 이미지를 형상화한 헤어아트 연구
- 디올 패션 조형성을 활용한 네일 디자인 연구
- 여성 피부미용종사자의 감정조절, 공감능력,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Rasch 모형을 이용한 뷰티전문가의 자기관리 측정도구 타당화
- 미용 실무 현장에서 요구되는 헤어 컬러 디자인 연구 방향
- 미용종사자의 셀프리더십과 내재적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자근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및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 직업계고 미용 교사의 실험·실습실 유해성분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시행의 필요성
- 왁싱샵의 서비스품질이 고객신뢰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20대 여성의 화장품 구매행동연구
- DISC 행동유형에 따른 네일 소비인식이 소비가치 추구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 여성의 얼굴 이미지와 헤어스타일 분석
- 미용교육 후 진로결정이 현업적용도와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피부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그릿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아르누보(Art Nouveau) 양식을 응용한 아트 업스타일 디자인 연구
- 헤어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비대면수업의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과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뷰티아카데미 강사의 커뮤니케이션과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와의 상관성 연구
- 영화·드라마의 캐릭터를 커버 메이크업한 유튜브 콘텐츠의 특성 연구
- 엑스틴세대의 소비성향이 병원화장품 정보탐색과 광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아브젝트 아트 특성이 반영된 특수분장 마케트 제작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4권 제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