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 청년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진로목표불일치의 순차매개효과

이용수 50

영문명
The Sequential Medit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Career Goal Discrepa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Job Satisfaction among Young Multicultural Adults: Based on Integrated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저자명
김은정 김민선
간행물 정보
『미래교육학연구』제36권 제3호, 37~6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통합 사회인지진로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다문화 청년들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진로목표불일치를 매개변인으로 가정한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개별 변인들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다문화 청년 내에서 이주배경(국내출생, 중도입국)에 따라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경로계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를 위해 다문화 청년 300명의 자료 중 모집기준에 맞지 않는 12명을 제외하고 288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연구모형이 자료를 적합하게 설명하였으며 자기효능감에서 직무만족에 이르는 경로를 제외한 주요 경로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진로목표불일치의 매개효과 또한 유의하였다. 다집단분석 결과, 진로장벽에서 자기효능감에 이르는 경로와 자기효능감에서 직무만족에 이르는 경로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적 기여: 본 논문은 다문화 청년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직무만족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으며, 진로장벽이 직무만족으로 이어지는 심리적인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다문화 청년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진로교육과 상담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Integrated Social-Cognitive Career Theory, this study established a structural model that assumed self-efficacy and career goal discrepancy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multicultural young adults, and examined the fit of the model and the relevance of individual variables. In addition, we wanted to test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t and path coefficients of the research model according to migration background (domestic birth, mid-entry) within multicultural young adults. For the study, we excluded 12 participants who did not meet the recruitment criteria from 300 multicultural youth, and 288 participa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confirmed that the research model adequately explained the data. All the main paths were significant except for the path from self-efficacy to job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career goal discrepancy was also significant. Multigroup analyses reveale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 paths from career barriers to self-efficacy and from self-efficacy to job satisfac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hat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job satisfaction as perceived by multicultural young adults and enhanced our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 process by which career barriers lead to job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mong multicultural yout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정,김민선. (2023).다문화 청년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진로목표불일치의 순차매개효과. 미래교육학연구, 36 (3), 37-61

MLA

김은정,김민선. "다문화 청년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진로목표불일치의 순차매개효과." 미래교육학연구, 36.3(2023): 37-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