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茶山 丁若鏞과 艸衣意恂의 茶道 工夫論 비교 연구

이용수 34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Tea Tao[茶道] Cultivation Theory of Dasan Jeong Yak-yong(茶山 丁若鏞) and Choeui Eui-soon(艸衣意恂)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김종용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第59輯, 237~26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7세기 한국 다도 철학과 공부론의 관계를 추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한국 철학의 양 기둥이라 할 수 있는 유·불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를 수행하였으며, 유교에서는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1762-1836)을, 불교에서는 초의 의순(艸衣意恂, 1786-1866)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결과를 축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다산은 ‘사려’ 중심적 공부를 말하고, 초의는 무수이수(無修而修)를 기반으로 한 분별 망상을 내려놓는 수행을 말하였다. 이에 다산에게 음다(飮茶)는 감정을 동하지 않음을 전제로 ‘사려’의 또렷함을 도모하는 도구로써의 의미가 있었다. 반면 초의에게 음다 및 행다는 그 행위 안에서 삼매에 들어감[茶禪三昧]과 동시에 차의 신묘함을 통해 불성을 엿보고 발견해 나가는 과정[茶禪一如]이었다. 이와 같은 두 인물의 다도를 대하는 인식의 차이는 그들이 가지고 있는 차(茶)에 대한 개념적 이해 때문이다. 다산에게 차(茶)는 사람과는 구별되는 물(物)로, 양약과 정신을 맑게 해주는 기질을 지닌 물(物)이지만, 초의에게 차(茶)는 곧 자성(自性)과 다름 아닌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 때문에 다산의 공부에서 다도(茶道)는 성성한 사려를 도모하여 이를 기반으로 성리(性理)를 지켜나가는 공부였다면, 초의에게 행다(行茶)·음다(飮茶)의 전반의 과정은 그 자체에서 스스로의 불성을 발견하고 깨닫는 것이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a-San's Tea Tao view and cultivation theory, and Cho-Ui's Tea Tao view and performance theory. To this end, in this study, a chapter confirming the connection between Da-San'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Tea Tao [茶道] view, and a chapter confirming the connection between Cho-Ui's theory of performance and Tea Tao [茶道] view were conducted respectively. Afterwards, in Chapter Ⅳ, the results of the above two studies were analyzed. The abbreviated explanation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Da-San spoke of thoughtful cultivation, and Cho-Ui spoke of the practice of Wei xian jian ze [唯嫌揀擇]. Therefore, to Da-San, Tea Tao [茶道] was a process of promoting clarity of thought on the premise of not moving emotions. On the other hand, for Cho-Ui, Tea Tao [茶道] was a process of self-discovery.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ea Tao[茶道] of these two characters is due to their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ea. For Da-San, tea is a substance that is distinct from that of people, and is a substance that clears the mind and body. On the other hand, for Cho-Ui, tea was interpreted as nothing other than Buddha-nature. For this reason, for Da-San, the entire process of Tea Tao [茶道] is a process of cultivation to protect Zhong Yong [中庸] through perception. For Cho-Ui, the act of Tea Tao [茶道] was a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discovering oneself.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다산의 茶道와 修身의 관계
Ⅲ. 초의의 茶道와 禪의 관계
Ⅳ. 다산과 초의의 茶道工夫論비교분석
Ⅴ.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용. (2023).茶山 丁若鏞과 艸衣意恂의 茶道 工夫論 비교 연구. 불교연구, (), 237-264

MLA

김종용. "茶山 丁若鏞과 艸衣意恂의 茶道 工夫論 비교 연구." 불교연구, (2023): 237-2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