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시대 『佛頂心陀羅尼經』의 간행과 판본 분석

이용수 28

영문명
Publication of Sūtra of Great Dhāraṇī of the Uṣṇīṣa-cittā and Analysis of its Goryeo Edition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안휘섭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第59輯, 183~236쪽, 전체 5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9,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정심다라니경의 판본과 간행에 대하여 선행연구와 실물조사를 통하여 중국판본 및 한국의 기관 소장 자료들을 살펴본 결과 대체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불정심다라니경의 성립은 중국 당대에 이루어진 것으로 위경에 속하며 그 체제는 3권 1책이나 3권은 각각 그 서명이 수록내용에 따라 달리 표시되었다. 둘째, 중국에서는 돈황, 서하, 투루판에서 발견된 한문본 및 서하문 자료 등이 있고 특히 요 나라, 금 나라 때에는 경당(經幢; 경전을 탑형식의 돌에 새긴 조형물)의 형식으로 11-12세기에 석각이 유행되었다. 셋째, 한국에서는 12세기(1150년, 1156년, 1166년)의 다라니의 총지집(摠持集; 다라니를 종합적으로 모은 책) 형태 자료에서 ‘불정심진언(佛頂心眞言)’으로 주문(呪文)이 실담자로 수록되어 있다. 이 자료들은 해인사 비로자나불 불복장에서 나온 것이며 1156년, 1166년본은 47장의 구성으로 ‘존심(存心)’과 ‘언평(彦平)‘이 각기 새긴 다라니이다. 이 중 법수사 자화(法水寺 資華)가 발원한 범서총지집이 있으며 1150년의 판본은 옛 평양의 광제포(廣濟鋪)에서 사원(思遠)에 의해서 교정되고 발원하여 간행된 것이다. 『고려사(高麗史)』 등의 기록에 전쟁 등으로부터 국가를 보호하고 천재지변, 재앙으로부터 나라의 안녕을 기원하는 불교 행사로서 불정심도량(佛頂心道場)이 13세기부터 자주 열렸다. 책의 형식상 3권의 형태는 주로 13세기 초반부터 나타나고 현존하는 자료는 대부분 수진본으로 휴대용이며 이는 당시 몽고와의 전쟁, 무신의 난 등 신변의 안전을 바라는 목적이라 볼 수 있고 이러한 배경에는 당시 밀교의 유행으로 민중들의 복을 기원하는 신앙이 반영된 것이다. 넷째, 경전의 제목의 3권 각각 다르며 각 권에서의 그 표기 또한 시대별, 판본별에 따라 달리 나타난다. 책의 구성은 상권이 관음보살이 석가모니불에 서원하면서 이 다라니의 공덕을 열거하고 있고, 중권은 이 경을 늘 몸에 지니고 외우고, 공양함으로서 얻어지는 공덕과 보호를 언급하였고, 하권에서는 4가지의 영험한 사례를 들어 이 다라니의 공덕을 수록하였다. 즉 이 다라니를 통하여 전생의 죄를 소멸시키고, 여자가 남자로 태어날 수 있으며, 병을 낫게 하고, 악을 물리치고, 여자 잉태하여 순산할 수 있으며, 산모를 보호하고, 극락왕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중생의 어려움을 없애준다는 내용이다. 다섯째, 이 다라니경은 3권본 뿐만 아니라 고려시대부터 낱장의 형태로 주문(呪文)만을 새겨 유통시켰으며 주로 조선 후기에 민간의 수요에 부응하여 각 사찰에서 판각하였다. 전 시대를 통하여 이 呪文의 표기는 한문음, 실담자, 한글음이 필요에 따라 선별적으로 기록되었고 그 표기의 양식도 合字, 倂記, 句節表示, 長短音, 聲調表示 등이 판본에 따라 다르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의 고려시대 『佛頂心陀羅尼經』의 성립과 간행, 시기별, 지역별 판본 등에 대하여 현존의 판본과 기록을 통하여 정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Chinese edition and records of a Korean institu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actual examination of the Sūtra of Great Dhāraṇī of the Uṣṇīṣa-cittā. In conclusion, following points have been discovered. First, the Sūtra of Great Dhāraṇī of the Uṣṇīṣa-cittā is categorized as Wigyeong(僞經) as it was established during the Tang Dynasty and its structure follows three volumes and one edition; different signatures were marked according to content of each volume. Second, there are Chinese character editions and Seoha editions discovered in Dunhuang, Xia, and Turpan. In particular, Gyeongdang(經幢; a sculpture with engraved scripts in a tower-style stone) style was popular in the 11th and 12th centuries during the Liao Dynasty and Jin Dynasty. Third, in the 12th century (year of 1150, 1156, and 1166) of Korea, Jumun(呪文) of ‘Buljeongsimjineon(佛頂心眞言)’ in Dharani Chongjijip(摠持集; compiled edition of Dharanis) is listed in Siddam characters. These records were discovered in Vairocana Buddha statue in Haeinsa Temple and the editions of the year of 1156 and 1166 consist of in 47 chapters engraved by ‘Jonsim(存心)’ and Eonpyeong(彦平)’, respectively. Among these editions, there is Beomseo Chongjijip prayed by Jahwa(資華) of Bupsoo Temple(法水寺) and the edition in 1150 was corrected and published by Sawon(思遠) in Gwangjaepo(廣濟鋪), a place where old Pyeong was. According to 『History of Goryeo(高麗史)』, Buljeongsimdoryang(佛頂心道場) was held frequently as a Buddhist event to protect the country from war and natural disasters. Three volumes structure can be witnessed in the early 13th century and most of the existing books are designed with portability. It is suggested that these books were created to hope for safety from the war against Mongolia and the military coup. Such practice reflects the background of the time, when esoteric Buddhism was popular among public. Fourth,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re are small-sized books created based on the Goryeo editions to treat and prevent individuals’ disease, disasters, and bad luck. In 1485, the royal kingdom published a woodblock edition with a plaque based on the edition of Ming Dynasty of China for the well-being of the royal family and prosperity of the descendants. During this time, Eonhae edition was printed with Eulhae metal type. This edition was published until the 17th century with slight variations in a myraid of local temples. However, the style on Eonhae portion remained the same. Fifth, the titles of the three volumes of the scripture are different and the marks in each volume appear differently by periods and editions. The first volume lists the virtues of Dharani as Avalokitesvara Bodhisattva pledges to Sakyamuni Buddha; the second volume mentions the virtues and protection gained by memorizing and offering this scripture all the time; and the third volume includes Dharani’s virtues with four spiritual examples. In other words, it includes stories about people eliminating their sins from their previous lives, woman born as a man, healing diseases, defeating evil, getting pregnant, protecting mothers and living in paradise through Dharani. Sixth, this Dharani was engraved and distributed not only in three volumes but also in the form of a single sheet with Jumun(呪文) since the Goryeo Dynasty, and was mainly engraved at local temples in response to the demand of the private secto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the time goes by, Hanmuneum, Siddam character, and Hangeuleum were selectively applied to Jumun(呪文) as needed and its writing styl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Hapja(合字; combined characters), Byeonggi(倂記; write both Hangeul and Hanja character sounds in orderly manner), Gujeolpyosi(句節表示; read by character segments), Jangdaneum(句節表示), Seongjopyosi(聲調表示; high and low c

목차

Ⅰ. 머리말
Ⅱ. 불정심다라니의 의의
Ⅲ. 14세기 이전 중국등지에서 간행한 『불정심다라니경』
Ⅳ. 13, 14세기 간행 불정심다라니경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휘섭. (2023).고려시대 『佛頂心陀羅尼經』의 간행과 판본 분석. 불교연구, (), 183-236

MLA

안휘섭. "고려시대 『佛頂心陀羅尼經』의 간행과 판본 분석." 불교연구, (2023): 183-2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