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NFT문화콘텐츠’와 파생실재(hyperréel)공동체의 향유

이용수 131

영문명
NFT Culture Contents and Hyperréel Community: Focusing on Banksy and the Case of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이지혜 안숭범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56호, 101~12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째, NFT(대체불가토큰)를 활용해 생산된 콘텐츠의 성격과 특징을 규명하여 ‘NFT콘 텐츠’, ‘NFT문화콘텐츠’ 개념을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NFT문화콘텐츠의 소비 과정에서 형성된 향유공동체의 정체성을 파생실재공동체로 명명하고 ‘상상적 대화공간’의 함의를 해명하기로 한다. 연구결과, ‘NFT콘텐츠’는 NFT 기술로 소유권이 증명된 콘텐츠라 할 수 있다. NFT콘텐츠의 종류는 다양하다. NFT콘 텐츠의 가치를 결정하는 것은 현실 사물의 원본가치가 아니라 웹상으로 전이된 가상적 사물의 기호가치이다. 특히 유무형 의 문화적 요소를 체화시켜 대체불가토큰으로 발행된 ‘NFT콘텐츠’를 ‘NFT문화콘텐츠’라고 칭한다면, 이는 ‘NFT아트’, ‘NFT문화예술콘텐츠’ 등의 개념을 포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미 범용되고 있는 문화콘텐츠 용어를 새로운 기술기반 위에서 인문학적으로 재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획득할 수 있다. 오늘날 NFT문화콘텐츠는 제작⋅유통 과정에서 상상적 기호가치를 통한 상호작용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는 NFT콘텐츠의 효용을 논하는 데 중요한 참고점이 된다. 주목할 지점은 NFT문화콘텐츠의 경우 그것을 둘러싸고 파생된 향유공동체의 스토리텔링 효과로 ‘상상적 대화공간’의 가치를 확인시킨다는 사실이다. 이에 본고는 NFT문화콘텐가 견인 하는 ‘상상적 대화공간’의 힘을 ‘파생실재공동체’라는 용어로 해명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이 글은 NFT콘텐츠의 대표적인 사례 두 가지를 분석한다. 뱅크시가 시도한 일련의 NFT콘텐츠 작업과 간송미술관에서 NFT로 발행한 H훈민정음 해례본H은 ‘상상적 대화공간’의 성격과 ‘파생실재공동체’의 유동하는 힘을 확인할 수 있는 사례에 해당한다. 이들 작품은 웹과 현실세계의 경계를 지워내며 새로운 상상적 맥락이 기입된 소비재로 공통점을 지닌다. 한편 상상적 기호가치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파생실재공동체의 초매개적 양상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wofold. First, we would like to propose the concepts of “NFT contents” and “NFT culture content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contents produced using NFT (non-replaceable tokens). Second, the identity of the enjoyment community formed in the process of consuming NFT culture contents will be named a derivative real community and the implications of the “imaginative communication space” will be explain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simply defining “NFT contents” can be said to be content that has proven ownership with NFT technology, and there are various types. Determining the value of NFT contents is not the original value of real objects, but the symbolic value of virtual objects transferred on the web. In particular, if NFT content issued with non-replaceable tokens is NFT culture contents by embodying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elements, it can cover concepts such as “NFT art” and “NFT culture and artistic contents.” It can also acquire the possibility of reconsidering culture contents terms that are already being used on a new technology basis. Today, NFT culture contents is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 through imaginary preference values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 which is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for discussing the utility of NFT contents. It is noteworthy that in the case of NFT culture contents, the value of the “imaginative communication space” is confirmed by the storytelling effect of the enjoyment community derived around it. Accordingly, this paper explained the power of the “imaginative communication space” driven by the NFT culture contents in the term “Hyperréel Community.” Based on these theoretical discussions, this article analyzes two representative examples of NFT contents. The series of NFT contents work attempted by Banksy and the ‘Hunminjeongeum Haeryebon’, published as an NFT by the Kansong Museum of Art, are examples of the nature of the “imaginative communication space” and the flowing power of the “Hyperréel Community.” These works have something in common as consumer goods with a new imaginary context, eras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 web and the real world.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creating imaginary preference values and the supermediated aspect of the derivative real community.

목차

1. 서론
2. NFT콘텐츠의 시뮬라시옹
3. 파생실재공동체의 향유 과정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혜,안숭범. (2023).‘NFT문화콘텐츠’와 파생실재(hyperréel)공동체의 향유. 글로벌문화콘텐츠, (), 101-121

MLA

이지혜,안숭범. "‘NFT문화콘텐츠’와 파생실재(hyperréel)공동체의 향유." 글로벌문화콘텐츠, (2023): 101-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