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寒岡學派의 硏究現況, 成果와 課題

이용수 31

영문명
Hangang School’s Research Status, Achievements and Tasks
발행기관
한국동양철학회
저자명
秋娜眞
간행물 정보
『동양철학』第59輯, 115~14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7.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寒岡 鄭逑(1543-1620)는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초반 영남학계를 대표하는 학자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는 퇴계 이황과 남명 조식의 학통을 모두 계승한 학자로서 특히 심학과 예학을 중심으로 자신의 학문을 전개하였다. 그는 성주와 대구 등을 중심으로 하는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영남지역은 임진왜란 때 왜적이 쳐들어오는 길목에 위치하여 그 피해를 직접적으로 겪었고, 더불어 의병활동도 다른 지역에 비해 크게 일어났다. 그렇기 때문에 임진왜란 이후 영남지역은 의병활동을 이끌었던 이들이 학계를 주도하게 되는데, 이들 중에는 정구를 포함하여 寒岡學派 인물들이 많이 포진해 있었다. 정구에 대한 연구는 1985년을 시작으로 최근까지 약 40년 정도 축적되었는데, 문학, 역사, 철학 등 다방면에서 연구되고 있다. 그리고 정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정구의 학문적 흐름을 계승하고 있는 한강학파에 대해서도 점차 진행되었다. 본고에서는 한강학파에 대한 연구를 크게 네 가지 카테고리, 즉 한강학파의 외연과 위상, 정구의 학문 전승 양상, 한강학파의 성장과 확장, 한강학파의 사회실천으로 설정하였다. 우선 한강학파의 외연과 위상은 『檜淵及門諸賢錄』과 「蓬山浴行錄」을 통해 살펴보았다. 『회연급문제현록』은 정구의 문인록으로 이를 통해 한강학파의 전체적인 규모와 외연을 살펴보았고, 「봉산욕행록」을 통해 당시 정구의 학문적 영향력과 함께 학파 내의 유대와 결속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정구의 학문 전승 양상에 대해서는 정구의 언행을 모은 『寒岡言行錄』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강학파에게 전해진 정구의 학문적 사상들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또한 한강학파의 성장과 확장은 정구가 자신의 강학처를 성주에서 대구, 칠곡으로 옮겨오면서 당시 활동하던 대구지역 2-3세대 유학자들이 대거 한강학파로 흡수되는 과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한강학파의 사회실천 양상의 하나로 임진왜란 당시 의병활동 전개 양상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끝으로 앞으로 한강학파 연구에 있어서 몇 가지 과제에 대한 내용도 담고 있다.

영문 초록

Hangang Jeong Gu can be considered a representative Yeongnam regions’s scholar of the late sixteenth and early seventeenth centuries. He was a scholar who followed in the footsteps of both Emperor Lee Hwang and Jo Sik, and developed his studies especially in the fields of psychology and art. He was a scholar who inherited from the scholastic mantle of Lee Hwang and Jo Sik, and developed his own scholarship, especially focusing on study of mind and study of ritual. He was active mainly in the Yeongnam region centered on Seongju and Daegu. The Yeongnam region was located on the road to the Japanese invasio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directly suffered the damage. For this reason,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ose who led the righteous army activities in the Yeongnam region led the academic world, and among them, there were many figures of the Hangang School, including Jeong Gu. Studies on Jeong Gu have been accumulated for about 40 years, starting in 1985, and are being stud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And as the research on Jeong Gu progressed, the Hangang School, which inherited the academic flow of Jeong Gu, was gradually studied. In this paper, research on the Hangang School is large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he external appearance and status of the Hangang School, the aspect of academic transmission of Jeong Gu, the growth and expansion of the Hangang School, and the social practice of the Hangang School. First of all, the denotation and status of the Hangang School were examined through Hoiyeongeupmunjehyeonrok and Bongsanyokhangrok. Hoiyeongeupmunjehyeonrok is Jeong Gu’s literary record, which examines the overall scale and extension of the Hangang School, and through Bongsanyokhangrok, Jeong Gu’s academic influence at the time, as well as the bonds and solidarity within the school can be confirmed. And the aspect of Jeong Gu’s academic transmission was examined through Hangangeonhaeongrok, a collection of Jeong Gu’s words and action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nfirm Jeong Gu’s academic thoughts passed down to the Hangang School. In addition, the growth and expansion of the Hangang School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a large number of second-generation and third-generation Confucian scholars in the Daegu region who were active at the time were absorbed into the Hangang School as Jeong Gu moved his lecture center from Seongju to Daegu and Chilgok. In addition, as one of the aspects of social practice of the Hangang School,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righteous armies activitie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Lastly, it contains contents about some tasks in the study of the Hangang School in the future.

목차

Ⅰ. 정구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Ⅱ. 한강학파 선행연구 검토
Ⅲ. 한강학파 연구에 대한 앞으로의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秋娜眞. (2023).寒岡學派의 硏究現況, 成果와 課題. 동양철학, (), 115-144

MLA

秋娜眞. "寒岡學派의 硏究現況, 成果와 課題." 동양철학, (2023): 115-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