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분노 관련 제반 증상에 대한 한의학 고문헌 고찰
이용수 7
- 영문명
- A Literature Review on Symptoms Related to Anger in Korean Medical Texts: Searching for a Korean Medicine Approach to Intermittent Explosive Disorder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김연태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36권 3호, 15~2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간헐적 폭발성 장애를 한의학적으로 고찰하여, 대표 처방을 제시하고, 본 질환 치료의 중요성에 대해서 고찰한다.
방법 : 醫學入門, 東醫寶鑑, 血證論에 기재된 怒 관련 병기, 증치 등을 바탕으로 간헐적 폭발성 장애와의 관련성을 연구한다.
결과 : 간헐적 폭발성 장애는 한의학적으로 怒傷肝의 병기와 관련이 있다. 또한 이러한 격렬한 분노는 뇌졸중 등과 같은 응급 질환의 잠재적 원인이 되므로, 질환 예방과 건강 증진을 위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결론 : 當歸蘆薈丸을 간헐적 폭발성 장애의 기본 처방으로 하여 임상에 활용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 wide range of symptoms related to anger and their corresponding treatments as describ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al literature. Additionally, the study aims to propose key prescriptions for Intermittent Explosive Disorder(IED), thereby striving to explore potential therapeutic strategies.
Methods : This comprehensive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athologies, symptoms, and treatments related to anger, as described in the Yixuerumen (醫學入門), the Donguibogam (東醫寶鑑), and the Xiezhenglun (血證論), and their relevance to IED.
Results : Anger impairs the liver, giving rise to a spectrum of symptoms including dry hair, headaches, dizziness, a bitter taste in the mouth, tinnitus, vomiting of blood, sharp chest and flank pains, abdominal discomfort, tremors, diarrhea, and hyperventilation. Furthermore, this heightened anger can serve as a potential trigger for strokes and, considering its potential to hinder recovery from various other conditions, calls for proa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
Conclusions : Severe anger has the potential to trigger strokes and hinder recovery from a range of illnesses, underscoring the necessity for tailored and proactive treatment based on the severity of symptoms. In the instance of IED, clinical application of the Danggui Luihuiwan (當歸蘆薈丸) is warra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본론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