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가계대출의 특징과 결정요인 분석
이용수 93
- 영문명
-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nts of Household Loans in Korea: Focusing on COVID-19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 저자명
- 장진희 홍재범 최승두
- 간행물 정보
- 『아태비즈니스연구』제14권 제2호, 51~6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 Since COVID-19, the government's expansion of liquidity to stimulate the economy has resulted in an increase in private debt and an increase in asset prices of such as real estate and stocks. The recent sharp rise of the US Federal fund rate and tapering by the Fed have led to a fast rise in domestic interest rates, putting a heavy burden on the Korean economy, where the level of household debt is very high. Excessive household debt might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economy, such as shrinking consumption, economic recession, and deepening economic inequality. Therefore, now more than ever,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auses of the increase in household debt. Design/methodology/approach - Main methodology is regression analysis. Dependent variable is household loans from depository institutions. Independent variables are consumer price index, unemployment rate, household loan interest rate, housing sales price index, and composite stock price index. The sample periods are from 2017 to May 2022, comprising 72 months of data. The comparative analysis period before and after COVID-19 is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19 for the pre-COVID-19 period, and from Jan 2020 to December 2022 for the post-COVID-19 period. Findings -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ntire period, it was found that increases in the consumer price index, unemployment rate, and household loan interest rates decrease household loans, while increases in the housing sales price index increase household loan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Household loans of depository institutions are mainly made up of high-credit and high-income borrowers with good repayment ability, so the risk of the financial system is low. As household loans are closely linked to the real estate market, the risk of household loan defaults may increase if real estate prices fall sharply.
목차
Ⅰ. 서론
Ⅱ. 가계부채 현황 및 이슈
Ⅲ.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의 도출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경험한 커리어쇼크가 주관적 경력 성공 인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하얼빈 국제빙설제의 사례로 본 겨울축제의 방문동기 및 시장 세분화 연구
-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 1인 미디어 콘텐츠 및 인플루언서의 속성이 이용자들의 신뢰, 시청몰입,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가계대출의 특징과 결정요인 분석
- 관광활동의 민원 관계망 최적화 관광 와치도그 도입에 관한 소고
- 국제 전자상거래에서 CISG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검토
- 정보거래자의 옵션 선택에 관한 연구
- 유튜브 관광콘텐츠 특성이 몽골인의 관광지 선택에 미치는 영향
- 북한보험제도의 변화와 전망: 현지답사결과를 중심으로
- 관광가이드의 긍정심리자본 요인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컴파운딩 업체의 TDABC 적용사례 연구: K사 TDABC 적용 및 수익성 개선
- 코스피 상장 제조기업의 2000-2019년 재고수준 변화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