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에서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이용수 113
- 영문명
- Relationships of Ego-resilience to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llege of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대한사회정신의학회
- 저자명
- 서혁수 이정식
- 간행물 정보
- 『사회정신의학』제17권 제2호, 67~7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1.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에서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분석하여 자아탄력성의 효용성을 증명하고,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를 분석하여 자아탄력성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 법 :
서울, 경기도, 강원도, 대전 소재의 간호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아탄력성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이용하여 대상자들을 평가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은 Pearson 상관관계분석, Independent t-test, 정준상관 분석으로 분석되었다.
결 과 :
자아탄력성이 높은 군과 낮은 군에서 심리적 안녕감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자아탄력성이 낮은 군은 정서중심적 대처를더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 중 자신감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예측력이 가장 높았고,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에서는 정서중심적 대처가 가장 예측력이 높았다.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 중 자신감, 낙관적 태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높은 예측 력을 보였고,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변인 중 자아 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적이 자아탄력성에 높은 예측력을 나타냈다.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문제중심적 대처, 정서중심적 대처가 심리적 안녕감에 예측력이 있었고,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변인 중에서는 자아수용, 자율성, 환경통제, 삶의 목적이 예측력이 있었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자아탄력성과 삶의 질을 반영하는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고 자아탄력성이나 심리적 안녕감에 정서중심적 대처가 상당히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서중심적 대처를 줄이는 방안을 고려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영문 초록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uthenticate the usefulness of ego-resilience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find out the ways to enhance ego-resilience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Method :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200 undergraduate students who live in Seoul, Gyeonggi Province, Gangwon Province, and Daejeon. The data of the study was collected by measuring ego-resilience scale, stress coping strategy sca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data of the study was analyzed by using Pearson correlation, Independent t-test, and Canonical correlation.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ego-resilient groups i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low ego-resilient group tended to use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The confidence among four sub-variables of ego-resilience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stress coping strategies. In comparison, the emotion-focused strategy among four sub-variable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ego-resilience. In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confidence and optimistic attitude were more significant factors in predi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elf-acceptance, positive relation with others, and purpose in life of psychological well-being sub-variables had more predictive power to ego-resilience. The problem-focused and emotion-focused strategies among four stress coping strategy were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elf-acceptance,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and purpose in life had predictable power to stress coping strategy.
Conclusion :
The study verifi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is reflecting the quality of the life. We also validated that the emotion-coping strategy was related with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enhance ego-resilience, reducing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could be considered.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